환경(Environment)/대기

악취의 정의 및 악취처리기술 개요.

안전_보건_환경 2025. 4. 22. 20:24
반응형

악취 문제는 단순한 불쾌감을 넘어서 환경 민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폐수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농가등에서는 악취 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악취의 정의 및 악취처리기술 개요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악취의 정의

‘악취’라 함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이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고, ‘지정악취물질’이라 함은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하며 ‘악취배출시설’이라 함은 악취를 유발하는 시설, 기계, 기구 그 밖의 것으로 환경부장관이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 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악취방지법 제1장 총칙 제2조)

 

악취물질을 합리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문제의 확인 및 원인물질 규명, 공정 및 방지시스템의 공학적인 해설 및 설계 등의 단계를 거쳐야 함은 물론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기오염방지분야와 마찬가지로 배출가스의 유량, 오염물질의 농도, 온도, 수분함유량, 운전주기 및 배출가스의 부식성 등의 자료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악취처리기술을 흡착법, 흡수법, 연소법, 기타 처리법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냄새’라는 표현도 인간에게 쾌감을 주는 것을 ‘향기’,’향료’로 표현하고 일반적으로 ‘냄새’라고 한다. 한편 불쾌한 냄새를 ‘악취’라고 하는 느낌을 ‘구리다’라고 표현하는데 그 밖에 ‘냄새’와 ‘향기롭다’ 라고 하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영어에서는 냄새를 Smell, 향기를 Odor와 Aroma, 취기와 악취는 Malodor, Offensive Odor 등으로 표현한다. 냄새에 대한 개인의 기호는 각자의 주관적 요소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좋아하는 냄새를 ‘방향’이라 하고 싫어하는 것을 ‘악취’ 혹은 ‘취기’라고 구분한다.

국내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악취의 정의에 의하면, ‘악취’라 함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이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고, ‘지정 악취물질’이라 함은 악취를 유발하는 시설, 기계, 기구 그 밖의 것으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부령으로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악취방지법 제1장 총칙 제2조).

 

<지정악취 관리 물질>

    적 용 시 기
1. 암모니아
2. 메틸머캅탄
3. 황화수소
4. 다이메틸설파이드
5.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6. 트라이메틸아민
7. 아세트알데하이드
8. 스타이렌
9. 프로피온알데하이드
10. 뷰티르알데하이드
11. n-발레르알데하이드
12. i-발레르알데하이드
2005 2 10일부터
13. 톨루엔
14. 자일렌
15. 메틸에틸케톤
16.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17. 뷰티르아세테이드
2008 1 1일부터
18. 프로피온산
19. n-뷰티르산
20. n-발레르산
21. i-발레르산
22. i-뷰티르알코올
2010 1 1일부터

 

<대표적인 악취물질>

분류 물질명 분자(구조) 취기
Amine 암모니아
황화암모늄
디에틸아민
트리메칠아민
 
피리딘
NH3
(NH4)2S
(C2H5)2NH
(CH3)3N
(NH2)2CO
C5H5N
분뇨 냄새
썩은 생선냄새
썩은 생선냄새
Mercaptan 에틸메르캅탄
메칠메르캅탄
C2H5SH
CH3SH
썩은 양파냄새
썩은 양파냄새
불포화화합물
(탄화수소류)
아크로레인
사이크로헥산
스티렌
톨루엔
자일렌
CH2=CHCHO
C6H12
C6H5CH=CH2
C6H5CH3
 C6H4(CH3)2
 
 
가솔린 냄새
가솔린 냄새
가솔린 냄새
기타 황화합물 황화메칠
이황화메칠
황화수소
(CH3)2S
(CH3)2S2
H2S
썩은 양배추 냄새
썩은 양배추 냄새
계란 썩는 냄새
CN 화합물 아닐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네이트
CH2=CHCH2NCO
C6H5NCO
 
Phenol  
크레졸
C6H5OH
CH3C6H4OH
 
Aldehyde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n-부티르알데하이드
HCHO
CH3CHO
CH3CH2CHO
CH3(CH2)2CHO
 
자극적이며, 새콤하고 타는 듯한 냄새
고급알코올 부칠알코올
아밀알코올
CH3(CH2)3OH
CH3(CH2)4OH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메틸아이소부티르케톤
CH3CO2C2H5
CH3COCH2CH(CH3)2
자극적인 신나 냄새
할로겐 원소 염소.불소 Cl2, HF 자극적인 냄새

 

악취오염처리기술은?

악취물질을 합리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문제의 확인 및 원인물질 규명, 공정 및 방지시스템의 공학적인 해설 및 설계 등의 단계를 거쳐야 함은 물론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기오염방지분야와 마찬가지로 배출가스의 유량, 오염물질의 농도, 온도, 수분함유량, 운전주기 및 배출가스의 부식성 등의 자료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악취처리기술을 흡착법, 흡수법, 연소법, 기타 처리법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흡착법

흡착법은 흡착제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고체표면에 악취발생 물질을 농축시키는 조작으로서 악취가스의 처리용으로 옛날부터 사용해 온 방법이다. 내부 표면적이 큰 다공성 물질로서 피흡착물질에 대하여 특유한 친화력을 갖고 선택성이 있는 것이므로 처리하고자 하는 가스성분에 맞는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

흡착제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실리카겔, 알루미나, 모레큐라시브, 마그네시아 활성백토, 활성탄 등이 있지만 수분을 함유한 가스를 효과적을 흡착제거하기 위해서 활성탄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편이다. 흡착제와 가스를 접촉시키는 방법은 이동층방식, 유동층방식, 충진층방식 (고정층방식)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장치구조 및 조업관리가 용이한 충진 층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적용 대상 :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저농도 복합악취등

 

2) 흡수법

유해가스 제거방법으로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오염가스를 중화하여 액중에 고정시키는 방법과 산화반응에 의해 무해 무취물로 분해시키는 방법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화반응의 응용으로서는 산 세정에 의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의 염기성가스의 중화제거 및 알칼리세정에 의한 불소, 불화수소염소, 염화수소, 메르캅탄, 황화수소 등 산성가스의 중화 흡수제거 등이 있다. 산화반응에 응용되는 흡수액으로는 차아염소산용액, 염소수용액, 이산화염소, 과망간산 칼륨용액 등이 화학제품 공장악취, 아스팔트악취 등의 처리에 사용되고 있다.

 

3) 연소법

가. 직접연소법(After Burner법)

가연성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를 연소로에 보내 직접 연소하는 방식으로서 일종의 산화법으로서 연소에 의해서 완전히 H2O, CO2 등의 무해, 무취의 화합물로 변화시킨다.

나. 촉매산화법

촉매산화법은 코발트, 니켈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저온에서 완전연소를 시켜 보조 연료 비용을 절감하는 방식으로서 최적 조건을 설정하면 배출 가스 중 탄화수소의 제거에 가장 유효한 방법이다.

4) 기타 처리방법

가. 오존에 의한 악취처리

오존은 산소를 함유한 기체가 코로나(Corona)라고 불리는 전기장에서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상업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비교적 불안정한 기체이다. 오존은 대기 오염방지분야와 악취제거 공정에 사용될 때 강력한 산화제 역할과 살균제 역할을 함은 물론 온도, 습도, 등 주위환경이 적절하게 유지 되면 대부분의 악취물질 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나. 마스킹법

마스킹은 강한 냄새를 함유하고 있는 성분을 산포(散布)하여 악취를 은폐하는 방법이며 바니린, 헤리오트로핀, 송근유, 초산벤질 등이 있다.

다. 중화법

중화법은 두 종류의 다른 취기를 혼합하여 무취화 또는 취기를 약화 시키는 방법으로서 엄밀하게 말하면 마스킹법과는 다르며, 중화법에 의한 탈취제로는 식물정유, 엽록소를 주체로 한 각종 탈취제가 시판되고 있다.

라. 미생물에 의한 악취처리

악취처리방법으로서 미생물의 효소분해 작용을 이용한 방법은 옛날부터 쓰레기 매리집의 복토나 고속퇴비화 등에 의한 쓰레기 부괘악취를 감소 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을 발전시켜 건조배기법으로 처리하였다. 즉 배기가스를 수세 방냉 후 블로워(blower)로서 지표면 아래 로 압입하는 Soil-filter법이 사용되었다.

 

기타.

플라즈마 산화법 : 플라즈마 전기적 방전을 통해 생성된 플라즈마가 악취물질과 반응하여 무해한 물질로 전환. 초기 투자비용이 높고 유지관리가 어려움

복합 처리 시스템 : 흡수법, 생물학적 처리를 결합하거나 플라즈마 산화법과 흡착법을 병행하는 등의 방식.


환경부에서 악취관련 점검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