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_보건_환경

3D프린팅

 

3D 프린팅은 기존 제조업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기술로 이용 확산과 산업 진흥이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3D 프린터 작동 중에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방출되고

건강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집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작성한 자료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3d프린터3d프린터2
3d프린터

3D 프린터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1] 나노입자 포함 입자상 물질

나노입자(Nanoparticle, Ultra fine particle 등)

• 나노입자는 지름이 0.1 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미세입자를 의미하며,

초미세먼지 (2.5㎛) 보다 작은 입자이다.

 

3D 프린터 사용 시 미세입자가 방출되는데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신체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 다양한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주의가 필요합니다.

[2]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대기 중에 휘발되어 악취나 오존을 발생시키는 탄화수소 화합물로

천식환자나 화학물질에 민감한 사람은 각종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3D 프린터 작동 시 소재의 종류나 첨가제에 따라서 다양한 VOCs가 방출된다고 알려집니다.

- 락티드(PLA), 스티렌(ABS) 등등.

 

3D 프린터 사용시 안전 사용 수칙

 

안전수칙 1

3D 프린터 사용자 안전 행동요령

1-① 3D프린터 사용 중에는 창문과 환기 장치를 이용하여 환기

사용 전·후에는 창문을 통해 1시간 이상 환기

1-② 3D프린터 사용 중, 사용 공간에 가급적 머무르지 않기 사용 시 얼굴 부위(호흡기 부위)를 노즐에서 멀리하기

1-③ 3D프린터 사용 공간 출입 시 개인보호장비 착용

1-④ 노즐 온도는 3D 프린터 및 소재별 권장 온도보다 높게 설정하지 않기

1-⑤ 3D 프린터, 안전장비, 3D프린터 주변 및 바닥 등 사용 공간 청소

 

안전수칙 2

3D프린터 소재 선택 및 사용

2-① 물질 안전보건자료(MSDS)를 확인할 수 있는 소재 사용

2-② 학교, 가정에서 실습용으로 PLA 소재 사용

 

안전수칙 3

3D 프린터 선택 및 사용

3-① 헤파필터와 카본 필터가 있는 밀폐형 3D 프린터 선택 및 사용

3-② 개방형 또는 필터가 없는 밀폐형 프린터 사용 시 안전조치 필요

    (안전 부스 또는 포위식 국소배기장치 사용)

 

안전수칙 4

3D 프린터 설치 및 환기

4-① 3D프린터 사용을 위한 별도 공간 마련

4-② 3D 프린터는 내부 공기가 원활히 빠져나가는 창문 근처에 설치

공기 흐름이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도록 공간배치

 

3D 프린터 사용 시 개인보호장구는?

3d프린터보호구
3d프린터보호구

▶ 노즐과 베드의 높은 온도에 의한 화상 예방을 위해 장갑을 착용한다.

▶ 유해물질이 입과 코를 통해 흡입되지 않도록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다.

▶ 방진마스크와 KF94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차단 효과가 미미하므로,

     3D 프린터 사용량이 많을 경우 방독마스크 권장

▶ 미세입자(평균 0.4~0.6㎛ 크기)를 94% 이상 차단하는 1급 이상 마스크를 착용한다.

* 개인보호장구는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할 것.

 

3D 프린터 기술 및 안전수칙, 주요 용어 정리, 설치 및 환기방법 등에 세부사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간한 아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D프린터 안전 이용 가이드라인(2022_과기부).pdf
4.64MB

 

 

 

[관련 글]

1. - 물질 안전보건자료(MSDS) 이행실태 불시점검 ('22.7 ~ '22.9)

2. - 산업용 호흡용 보호구 종류와 사용 방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