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1일부터 온열질환 예방, 사업주 의무 법제화 됩니다. 지난 24.10월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2025년 6월 1일부터 폭염 상황에서 장기간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사업주의 보건조치 사항을 구체화하여 시행됩니다.최근 몇 년 사이, 여름철 폭염이 단순한 불쾌지수를 넘어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특히 실외 작업이 많은 건설업이나 제조업 현장에서는 한여름 하루 8시간씩 작업하는 것만으로도 온열질환 위험이 크다. 그런데 이제 이런 폭염 위험에 대한 대응이 단순한 권고 수준을 넘어서 ‘법적 의무’로 바뀐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1월 23일부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핵심은 폭염작업에 대한 사업주의 보건조치를 명문화..
2025년 건설업 산재예방 안전시설 맞춤형 패키지 지원 안내를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1. 개요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소규모 건설현장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안전시설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산재보상보험에 가입한 공사금액 50억 원 미만의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한다. 2. 지원 내용✔ 지원금액: 연간 최대 9,000만 원 지원, 현장 수에 따라 조정 가능 ✔ 지원 방식: 건설현장의 위험 요인에 맞춰 맞춤형 패키지 또는 단일 품목 지원 3. 맞춤형 패키지 지원 품목 (예시)구조물 공사 패키지: 시스템비계 + 수직보호망 + 낙하물방지망 + 시스템동바리마감 공사 패키지: 고소작업대(시저형) + 차량탑재형 작업대 + 사다리형 작업발판철골 공사 패키지: 추락방호망 + 고소작업대(시저형) + 차..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2025.2.12)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제11조 제목 외의 부분을 제1항으로 하고, 같은 조에 제2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② 사업주는 영 제16조제7항 및 제20조제3항에 따라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해임하거나 안전관리 업무 및 보건관리 업무 위탁을 해지 한 경우에는 별지 제3호의2서식의 안전관리자ㆍ보건관리자ㆍ산업보 건의 해임 등 보고서를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제23조 제목 외의 부분을 제1항으로 하고, 같은 조에 제2항을 다음과 같 이 신설한다.② 사업주는 영 제29조제4항에 따라 산업보건의를 해임한 경우에는 별지 제3호의2서식의 안전관리자ㆍ보건관리자ㆍ산업보건의 해임 등 보고서를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
이동식 크레인 및 고소작업대는 별도의 안전검사를 진행하셔야 되며 미실시시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및 사용중지 명령이 발생합니다. 오늘은 안전검사에 대해서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업장의 안전관리자는 꼭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항목내용정의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에 따라 유해·위험기계의 성능이 안전검사 기준에 적합한지 검사대상유해·위험기계 사용 사업주 (소유자가 다를 경우 소유자가 검사 진행)주요 검사 대상*차량탑재형 이동식 크레인(정격하중 2톤 이상),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차량 탑재형 이동식 크레인1) 원동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불특정 장소에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수평 또는 선회)로 운반하는 설비 2) 자동차관리법 제3조에 따른 화물·특수자동..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 예고 (폭염, 폭염작업 정의 및 대처방안) 산업안전보건법 제39조 보건조치 내용중,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이하 “보건조치”라 한다)를 하여야 한다.1. 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ㆍ흄(fume, 열이나 화학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고체증기가 응축되어 생긴 미세입자를 말한다)ㆍ미스트(mist, 공기 중에 떠다니는 작은 액체방울을 말한다)ㆍ산소결핍ㆍ병원체 등에 의한 건강장해2. 방사선ㆍ유해광선ㆍ고온ㆍ저온ㆍ초음파ㆍ소음ㆍ진동ㆍ이상기압 등에 의한 건강장해3.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기체ㆍ액체 또는 찌꺼기 등에 의한 건강장해4. 계측감시(計測監視), 컴퓨터 단말기 조작, 정밀공작(精密工作) 등의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5. 단순반복작..
방폭이란 폭발성 환경에서 전기 및 기계 장비가 폭발을 유발하지 않도록 설계된 기술적 방법 및 장치를 의미합니다. 다량의 화학물질을 다루는 화학, 정유, 가스처리 공장등에서는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관리되야 합니다. 폭발성 가스, 증기, 먼지 등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 폭발 위험 지역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 시설의 손상 방지.- 화재 및 폭발 사고 예방.- 주요 표준은 IEC, NEC, ATEX등이 있습니다.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Explosive)미국전기규정 NEC (National Electrical Code)유럽연합 폭발 위험 장비 보호시스템 지침 ATEX (Atmosph..
전기기계·기구 안전관리 방안 (작업계획, 설치, 운영단계 관리) [목차]0. 전기 작업용 주요 도구, 용어 정리 1. 작업계획 단계에서의 위험과 안전관리 2. 설치 단계에서의 위험과 안전관리3. 운영 단계에서의 위험과 안전관리 0. 전기 작업용 주요 도구, 용어전기작업 시 사용하는 주요 도구전압 (Voltage, V): 전기 회로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힘. 전위 차이로 정의됨.전류 (Current, I): 전하(전자)가 회로를 통해 흐르는 양. 단위는 암페어(A).저항 (Resistance, R):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 단위는 옴(Ω). 전력 (Power, P): 단위 시간당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 단위는 와트(W). 공식: P=V×IP = V \times IP=V×I.접지 (Grounding..
다량의 분진 사업장을 취급하는 사업장은 화재 및 폭발사고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분진관련 사고는 전체 사고중에 1% 미만의 발생비율을 보이나 사고발생시 사망확률이 약 10%로 매우 높은바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2차전지는 1차전지와 달리 방전 후에도 재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장점과 납, 수은 등 환경 규제 물질도 포함하지 않는 등 친환경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미래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다. 특히 2차전지의 핵심 구성요소인 양극제와 음극제 중에서 음극제는 기존의 흑연계 음극제보다 에너지 밀도가 더 높아 효율적인 실리콘* 음극제(흑연+실리콘)에 대해 지속적으로 개발이 진행되는 등 관련 사업이 확대되는 실정이다. 또한, 폐태양광 패널이나 반도체 제조 시 배출되는 실리콘 슬..
LOC (Letter of confirmation), COC(Certificate of composition)이라고 하는 것은 화학물질 확인 시에 사용하는데요 [목차]산업안전보건법상 LOC화학물질관리법상 LOC 산안법상 LOC산업안전보건법상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57조(물질안전보건자료 등의 제출방법 및 시기)내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적힌 화학물질 외에는 없다는 것을 별지 제62호 화학물질확인서류 + LOC로 증명해야 합니다. MSDS에 기재되지 않은 성분이 있다면, 그 정보를 MSDS와 함께 제출해야 하며 수입제품은 정보 미확보시에 확인서류(LOC) 제출 가능합니다. 관련 질의 Q. 질문국외제조자가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제2항제2호에 따라 '국외제조자로부터 확인받은 화학물질 ..
동절기의 건설현장은 낮은 온도, 결빙, 강설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미끄러짐 및 추락사고, 한랭질환(저체온증, 동상), 난방기기와 용접 작업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증가하는 시기입니다.동절기란?'겨울철', '겨울철 기간'을 의미함일반적으로 12월 ~ 2월 사이 2025년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것으로 전망되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습적 한파가 발생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2024년 11월에는 서울 수도권에 1972년의 12.4cm를 훌쩍 넘는 16cm의 눈이 내려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목차]1. 겨울철 기상 특보 구분2. 동절기 건설현장 위험성 - - - - 3. 안전보건 대책방안 - 겨울철 기상 특보 구분 대설 주의보 : 24시간 5cm눈이 발생하는 경우대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