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금지·제한구역 지정현황(2024년 12월 기준) 환경부에서 주기적으로 낚시 금지 및 제한구역을 발표합니다. 매년 그 대상 지역이 변동합니다. 낚시금지구역은 낚시 행위가 법적으로 금지된 특정 수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수질 보호, 생태계 보존, 수산자원 보호, 공공의 안전 등을 목적으로 지정됩니다. 낚시금지구역은 낚시 관리 및 육성법, 하천법, 수도법, 물환경보전법 등 다양한 법률에 근거하여 지정될 수 있으며, 위반 시 과태료 또는 벌금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시·도호소수호소명 (일부 요약)낚시 금지구역대구7수성못, 도원지, 옥연지, 금봉지, 용흥지, 군위댐, 창평호울산4태화호, 선암호(남구), 대암댐, 사연댐경기38반월호, 갈치호, 대왕호, 운중저수지, 서현호, 낙생호(성남시), 기흥..
국내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함에 있어, 전문업체 도움을 받을수 밖에 없습니다. 워낙 생소한 용어가 많고 어렵기 때문이지요.저또한,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함에 인허가 단계별로 굉장히 고생했던 기억이 남습니다. 도시가 커지고 개발이 늘어날수록, 그 뒤에는 늘 고민거리가 따라붙는다. "이 지역에 도로를 놓아도 괜찮을까?", "이 산을 깎으면 동물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 우리는 흔히 개발이 곧 진보라고 생각하지만, 그 과정에서 놓치기 쉬운 게 바로 '환경'이다. 이런 고민을 제도적으로 담아낸 게 바로 '환경영향평가' 입니다.환경영향평가란 쉽게 말해, 어떤 개발 사업이 자연과 사람에게 미칠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을 조정하거나 보완하는 제도다. 예를 들어 신도시를 조성할 때는 그 지역의 생태..
국내 재생에너지 구매제도 비교. (REC, PPA, 녹색프리미엄) (REC, PPA, 녹색프리미엄) 특징과 기업 활용 방안최근 국내외 기업들이 탄소중립과 ESG 경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재생에너지(RE)의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글로벌 대기업들이 공급망 협력업체들에게 RE100 가입과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하면서 국내 기업들도 이에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재생에너지를 확보하는 주요 방법으로는 REC, PPA, 녹색프리미엄의 세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각 제도의 특성과 장단점이 다르므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업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고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REC, PPA, 녹색프리미엄 제도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REC (공급인증서)REC는 재생에..
환경표지인증의 개념, 해외 선진국 환경표지 사례지속가능성과 친환경 소비가 강조되는 시대, 우리가 구매하는 제품에도 ‘환경에 덜 해로운가?’라는 기준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환경표지인증’은 환경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인증해주는 제도로,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운영하고 있다. 이 인증 제도는 단순한 ‘마케팅 문구’가 아니라, 제품의 전 과정에 걸쳐 환경성을 평가하고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환경표지인증”이란 같은 용도의 다른 제품(기기, 자재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포함)에 비해 제품의 환경성을 개선한 경우 그 제품에 다음의 로고를 표시한 것을 말합니다. 환경표지인증(Eco-Label, 환경마크)은 특정 제품이 동일 용도의 다른 제품보다..
ESG업무 총정리,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필수 역할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시대, ESG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최근 기업에 입사하거나 새로운 직무를 맡게 된 분들이 ESG 업무를 접하고 당황하는 경우도 많은데요. 그만큼 범위도 넓고, 관련 용어도 생소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ESG 업무를 크게 세 가지 축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로 나눠 살펴보겠습니다.1. ESG 업무란?ESG는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의 약자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예전에는 재무적 성과가 기업의 평가 기준이었다면, 이제는 비재무적 요소인 ESG가 투자자와 소비자..
수은 함유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업체 2025년 현황수집·운반업체 현황번호영업대상 폐기물.업체명소재지연락처비고(관할청)1수은함유 폐계측기기 (11-01-02)이엔래비스(주)경기 화성시 우정읍 호곡리 230-192031-416-3515한강유역 환경청2수은함유 폐램프 (11-01-01), 폐계측기기 (11-01-02)이가환경인천 남동구 구월로 129, 504호032-818-72603수은함유 폐램프 (11-01-01), 폐계측기기 (11-01-02)남동에너지(주)인천 남동구 고잔동 728-7032-812-08714수은함유 폐기물 (11-01)㈜녹색사람들서울 관악구 봉천동 1592-9, 3층 2호02-857-51005수은함유 폐램프 (11-01-01), 폐계측기기 (11-01-02)예담환경(주)인천 남동구 ..
전국 생태, 경관보전지역 지정현황 (2025년) 지정 근거 및 절차 지정 근거: 자연환경보전법 제12조 지정 절차 : 생태·경관우수지역 발굴조사 → 지정계획 수립 → 시·도지사 및 지역주민 의견 수렴 → 관계부처 협의 →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심의 → 지정·고시지정 현황 총계: 33개 지역, 287.383㎢ 환경부 지정 지역 (9개소, 249.196㎢)지역명위치면적(km2)특징지정일자지리산전남 구례군 산동면 등20.20극상원시림 (구상나무 등)1989.12.29섬진강 수달서식지전남 구례군 문척면 등1.834수달 서식지2001.12.01고산봉전남 함평군 대동면8.78붉은박쥐 서식지2002.05.01동강유역강원 영월군 영월읍 등80.426지형·경관 우수, 희귀 야생동식물 서식2002.08.09왕피천 유역경북 울..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 하수 슬러지등 유기성 폐자원 처리를 통한 바이오 가스 생산 및 활용시설 현황을 공유합니다. □ 시설 수 : 112개소로, 전년보다 2개소 증가※ ’22년 시설 중 제외 시설(3) : 나주, 삼례, 장수 바이오가스화 시설 휴업 ’23년 신규시설(5) : 부산, 군위, 이천, 음성, 제주 바이오가스화 시설 바이오가스화시설 세부현황 전국 현황 리스트연번시도시군 시설명 시설용량 (톤/일) 바이오가스 생산(천Sm³/년) 총계112개소 71,097383,321 음식물(소계)30개소 6,151110,942 1서울동대문구동대문환경자원센터982,9962부산강서구생곡음식물자원화시설2003,0113대구서구상리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3008,5224경기평택시평택에코센터2106,4155경..
지방세법 시행령 제83조(오염물질 배출 사업소)에 의거, 물환경보전법 / 대기환경보전법 /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개선명령 사업소는 '지방세를 2배(200%)' 납부 해야 합니다. 지방세법 시행령 제83조 법 제81조제1항제2호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오염물질 배출 사업소”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소로서 「지방세기본법」 제34조제1항에 따른 납세의무 성립일 이전 최근 1년 내에 행정기관으로부터 「물환경보전법」, 「대기환경보전법」 또는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선명령ㆍ조업정지명령ㆍ사용중지명령 또는 폐쇄명령(이하 이 조에서 “개선명령등”이라 한다)을 받은 사업소(해당 법률에 따라 개선명령등을 갈음하여 과징금이 부과된 사업소를 포함한다)를 말한다. ..
야생 멧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은 매우 감염성이 높은 돼지 질병으로, 멧돼지와 가축 돼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 감염병입니다. 이 질병은 케네디류로이드과(Asfarviridae)에 속하는 아스파르바이러스 속 바이러스에 의해 전파됩니다. ASF는 감염된 돼지에게 매우 치명적이며, 현재까지 치료법이 없어서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환경부에서 주기적으로 발샐한 위치/감염수를 공유합니다. [환경안전보건 이야기] -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현황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현황 2022년 6월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는 바이러스성 출현성 돼지 전염병입니다. 이병률이 높아 감염 시 치사율이 100%에 가까운 질병입니다. 세계 동물보건기구에서도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