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처벌법에서는 '중대재해' 용어를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로 구분/구별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중대시민재해 기준(해설서)를 정리 하였습니다. 1. 중대산업재해산업안전보건법 제2조 제1항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중대산업재해'라고 한다.주요 조건사망자 발생: 동일한 사고로 1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경우 (사고뿐 아니라 직업성 질병에 의한 사망도 포함)중상자 발생: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한 경우직업성 질병자: 동일한 유해 요인으로 1년 이내에 3명 이상이 직업성 질병을 진단받은 경우 '유해요인'은 중대..
22.2.11일 여수산단 내 여천 NCC 사업장에서 열교환기 기밀시험 중 폭발이 발생하여 4명 사망(협력업체 3명, NCC 직원 1명), 4명(협력업체)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여천 NCC는 한화와 대림이 절반씩 지분 투자한 회사로 에틸렌 등의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여천 NCC 3공장 폭발사고로 현장 책임자를 입건해 조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협력업체 직원들이 열교환기 청소를 마친뒤에 재가동에 앞서 기밀시험 도중 폭발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 Ton이 넘는 열교환기 덮개 파편으로 해당 사고가 났으며 압력이 어느 정도였기에 저 정도 피해를 입혔는지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고용노동부도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을 동시 적용할 것으로 보이며 공장은 작업중지 조치되었습니다. 회사는..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해 안전관리자 등이 다른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 안전, 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 시간의 기준을 규정하는 고시입니다.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 시간의 기준 고시 주요 내용 가. 안전관리자 등의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을 위한 최소 시간은 연간 585시간(재해위험이 높은 업종은 702시간)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 위 최소 시간에서 상시근로자가 100명 이상 200명 미만인 사업장의 경우에는 100시간을, 200명 이상 300명 미만인 사업장의 경우에는 200시간을 추가하여야 한다.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 시간의 기준 고시 전문 제1조(목적) 이 고시는「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 처벌법"이라 한다) 제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조 제6호 단서 후단..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중대재해발생 등 산업재해 예방조치 의무를 위반한 사업장 명단 총 1,243곳을 공개했습니다. 중대재해발생사업장(576곳), 사망재해 2명 이상 발생사업장(17곳), 산재은폐 및 미보고 사업장(82곳), 중대산업사고 발생 사업장(11개소)입니다. 법적 근거 [1] 산업안전보건법 제9조의 2 고용노동부 장관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장의 근로자 산업재해 발생건수, 재해율 또는 그 순위를 공표해야 한다.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8조의 4 공표대상 사업장 ①항 공표대상으로 정하는 사업장 1호. (중대재해)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으로서 연간 산업재해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재해율 이상인 사업장 2호. (사망자 2명 이상) 연간 사망재해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
중대재해 처벌법 개요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가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를 위반하여 '1명 이상 사망'이 발생되는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에게 사망에 대해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 부상 및 질병에 대해서는 '7년 이상의 징역 도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는 법입니다. 2021년 1월 26일 공포되었으며 2022년 1월부터 법 시행됩니다. (개인사업자, 50인 미만 사업자, 건설업 중 공사금액 50억 미만은 2024년) 만약,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중대재해 발생 및 손해가 발생하면 손해액의 '5배'까지 배상 책임이 부여됩니다. '중대재해'는 중대산업재해와 중대 시민 재해로 구별됩니다. 주요 내용 구별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대산업재해..
논란의 중심이던 중대재해 처벌법 시행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22.1.27일~). 벌써부터 사고를 발생한 사업장에서는 법 시행 전임에도 불구하고 처벌을 두려워합니다.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업주(경영책임자)의 형사책임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큰 논란입니다. * 지난 1월 초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였습니다. 이는 '22.1.27일부터 시행되며 50인 미만은 '24년부터 적용받습니다. [목 차] 1.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 처벌법의 비교 2. 중대재해 처벌법의 문제점 3. 사업장의 대처방안 1.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 처벌법의 비교 안전사고 발생 시 사업주(경영책임자)의 형사책임을 강화하는 것이 기본 바탕입니다. 적용범위는 5인 미만 사업장은 기본적으로 제외됩니다. (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