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 제108조 신규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조사에 의거 신규화학물질의 명칭, 유해성·위험성, 연간 제조·수입량 및 노동자 건강장해 예방등의 조치사항을 공유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서 신규화학물질의 제조 수입자는 사전에 고용노동부에 유해위험성 조사보고서를 제출해야 하고 고용노동부는 이를 검토해서 정보를 공표해야 합니다.
(목적)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등을 사전에 조사·확인하여 해당 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
○ (법적 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108조
(주요 내용)
신규 화학물질(연간 100kg 이상) 제조‧수입자는 사전에 유해성·위험성 조사보고서(이하, ‘조사보고서’)를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제출
- 환경부에 신규화학물질을 등록하면 조사보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간주
- 고용부는 안전보건공단과 함께 신규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등을 검토 후 사업주에게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조치사항을 통보하고, 신규 화학물질의 명칭과 유해성‧위험성 등을 관보 등에 공표
-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 조치사항: 국소배기장치 등 환기 시설 설치, 보호구 착용 등
※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조치사항: 유해성·위험성 정보란에 기재사항이 없더라도 신규화학물질 취급 노동자가 화학물질에 장·단기 노출될 경우 등을 대비하여 사업주가 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조치사항을 제시
일련번호 | 신규화학물질의 명칭 | 유해성·위험성 | 제조 수입량 |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조치사항
|
21-20(환) |
Halogenated-phenyl-H-heteropolycycl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84 | N-(Dicarbomonocycle-H-carbopolycycle)-N-dicarbomonocycle-H-heteropolycycle-amine |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4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185 |
Alkyl(C=2~7) carbomonocyclic alkyl(C=1~4)alkenoate(C=3~8) polymer with dihydroxystyrene, [(oxo-heteropolycyclic-yl)oxy]-oxoethyl Alkyl(C=1~4)alkenoate(C=3~8) and dihydroxy carbopolycyclic-yl alkyl(C=1~4)alkenoate(C=3~8)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86(환) | 1,1,1,3,5,5,5-Heptamethyltrisiloxane (CAS No. 1873-88-7) |
○ 인화성 액체 구분3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187(환) |
2,5-Furandione polymer with ethenylbenzene, hydrolyzed, 3-(dimethylamino)propyl imide, imide with polyethylene-polypropylene glycol 2-aminopropyl Me ether, 2,2'-(1,2-diazenediyl)bis[2-methylbutanenitrile]-initiated
(CAS No. 1062609-13-5)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88(환) | (±)-Nornicotine (CAS No. 5746-86-1) |
○ 급성 독성 구분3(경구)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2 |
1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189(환) |
(Aminoalkyl)-alkaneamine reaction products with polyalkylenimine and polyalkylene(C=1~5) glycol alkyl(C=12~16) (carboxy-hydro-substituted-heteropolycyclic) alkyl(C=1~5) ethers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90(환) | Silicon dioxide reaction product with poly[substituted(alkylaluminin)], bis[alkyl(C=4~7)-alkyl-carbomonocycle-yl]halogenatedmetaI and halogenated[[(alkylalkoxy(C=2~5))alkyl(C=6~9)]-(alkylalkyl(C=2~5))-alkyl-[aIkyl-carbomo nocycle-yl]silanaminato(2-)-κN]titanium | ○ 자연발화성 고체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191(환) | Silica gel reaction product with aluminoxanes, alkyl, alkyl group-terminated, halogenatedbis[[(alkylalkoxy(C=2~5))alkyl(C=6~9)]-carbomonocycle-yl]zirconium and [[(alkylalkoxy(C=2~5))alkyl(C=6~9)]-(alkylalkyl(C=2~5))-alkyl-[alkyl-heteropolycycle-yl]silanaminato(2-)-κN]alkyl-metal | ○ 자연발화성 고체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192 |
1-Bromo-4-chlorobenzene
(CAS No. 106-39-8)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93 | B-[2-(Methylthio)phenyl]boronic acid (CAS No. 168618-42-6)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194(환) |
[[(Carbomonocyclic-[carbomonocyclic]-yl-heteromonocyclic)carbomonocyclic]-carbopolycyclic]-heteropolycyclic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95(환) |
Bis(heteropolycycle)-[(heteropolycycle)carbomonocyclic]carbazol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96(환) |
Dialkyl(C=1~4)fluorenyl dialkyl(C=1~4)fluorenyl carbopolycyclic amin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97(환) |
Bicarbomonocyclicyl ditertalkyl(C=4~7) dialkyl(C=1~4) carbopolycyclic dialkyl(C=1~4) carbopolycyclic amin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198(환) | Cashew, nutshell liq. polymer with (glycidylsubstitutedcarbomonocyclic)alkane(C=3~8) |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2 ○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2 ○ 피부과민성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199(환) |
[Heteropolycyclic]metal, [[[(hydroxyalkyl)amino]substituted]alkyl]substituted (sulfoalkyl)substituted derivs., ammonium sodium salts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00(환) | Cobalt manganese nickel oxide (CAS No. 37348-84-8) |
○ 발암성 구분 1A ○ 생식독성 구분 1B ○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 구분1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2 |
1000톤 이상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01(환) |
P,P'-1,4-Phenylene P,P,P',P'-tetrakis(2,6-dimethylphenyl) phosphorate
(CAS No. 124784-27-6)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02(환) |
(Carbomonocyclic-carbopolycyclic)-heteropolycycl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03(환) | Reaction mixture of (alkyl(C=1~5)enecarbomonocyclic)bis[alkyl(C=17~21)urea], (alkyl(C=1~5)enecarbomonocyclic)bis[cyclohexylurea], (alkyl(C=1~5)enecarbomonocyclic)bis[cyclohexylurea], cyclohexyl-[[[[[(cyclohexylsubstituted)carbonyl]substituted]carbomonocyclic]alkyl(C=1~5)]carbomonocyclic]urea, cyclohexyl-[[[[[(alkyl(C=17~21)substituted)carbonyl]substituted]carbomonocyclic]alkyl(C=1~5)]carbomonocyclic]urea and [[[[(cyclohexylsubstituted)carbonyl]substituted]carbomonocyclic]alkyl(C=1~5)]carbomonocyclic]-alkyl(C=17~21)urea | ○ 피부과민성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04(환) |
1,4-Dibromo-2,5-bis(trifluoromethyl)benzene
(CAS No. 2375-96-4)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05(환) | trans-5-Propyl-2-(3',3'',4'',5''-tetrafluoro[1,1':4',1''-terphenyl]-4-yl)-1,3-dioxane (CAS No.1182844-19-4) |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4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06(환) |
Substituted-diphenyl-2-heteropolycycleamin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07 | Disubstituted-carbomonocycle, polymer with alkyl(C=1∼7)-hydroxyalkyl-alkanediol(C=2∼8), dioxo-heteromonocycle, dioxo-heteropolycycle and alkyl-alkanediol(C=2∼8) | ○ 호흡기 과민성 구분1 ○ 피부 과민성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08 | Disubstituted-carbomonocycle, polymer with alkyl(C=1∼7)-hydroxyalkyl-alkanediol(C=2∼8), dioxo-heteromonocycle, dioxo-heteropolycycle and alkyl-alkanediol(C=2∼8) | ○ 호흡기 과민성 구분1 ○ 피부 과민성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09 |
Polyalkylenepolyamines reaction products with [(carbopolycyclic-substituted)alkyl(C=1∼6)]heteromonocycle and succinic anhydride monopolyisoalkenyl(C=2∼7) derivs.
|
1000톤 이상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10 | 2-Methyloxirane polymer with oxirane and (alkane(C=2∼6)diyldinitrilo)tetrakis[alkanol(C=2∼6)] | ○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2(눈자극성) | 1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11 |
2-Methyloxirane polymer with oxirane and (alkane(C=2∼6)diyldinitrilo)tetrakis[alkanol(C=2∼6)] and 1,2-oxathiolane, 2,2-dioxide
|
1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12 |
Carbomonocycledicarboxylic acid, polymer with alkene(C=4∼8)dionic acid, alkyl(C=4∼8) propenoate, dialkyl(C=1∼4)propanediol, ethenylbenzene, alkyl(C=2∼6)-(hydroxyalkyl(C=1∼4))-1,3-propanediol, alkane(C=3∼7)dioic acid, hydroxyalkyl(C=2∼6) 2-alkyl(C=1∼4)-2-propenoate, alkyl(C=1∼4) alkyl(C=1∼4)-propenoate and alkyl(C=1∼4)-2-propenoic acid, dialkyl(C=1∼4)alkyl(C=2∼6) alkyl(C=2∼6)alkane(C=3∼7)peroxoate-and dialkyl(C=1∼4)alkyl(C=2∼6) peroxide-initiated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13 |
Alkyl substituted alkyl(C=1∼4) alkenoate(C=3∼6) polymer with alkenyl(C=1∼4) heteropolycycl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14 |
2-Oxiranemethanamine, N,N ’-[methylenebis(2-chloro-4,1-phenylene)]bis[N-(2-oxiranylmethyl)-
(CAS No.58732-13-1) |
1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15 | 4-Cyclohexene-1,2-dicarboxylic acid, 1,2-bis(2-oxiranylmethyl) ester |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2(피부 자극성) ○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2(눈 자극성) ○ 피부과민성 구분1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16(환) |
9'-([1,1':3',1''-Terphenyl]-4-yl)-9-phenyl-4b,8a-dihydro-9H,9'H-3,3'-bicarbazole
(CAS No. 부여되지 않음)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17(환) | Propyl-1,3-cyclopentadiene (CAS No. 27288-07-9) |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2(피부자극성) ○ 피부과민성 구분1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2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18(환) |
Bicarbomonocyclic-bicarbopolycycl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19(환) |
Substituted-phenylheteropolycyclic-1-amin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20(환) | N-(2-Chloroethyl)-N-ethyl-3-methylbenzenamine (CAS No. 22564-43-8)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2(피부자극성) ○ 피부과민성 구분1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3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21(환) |
[[[(Substituted-alkyl(C=1~6)carbomonocyclic)-alkyl(C=1~6)alkyl(C=2~7)]carbomonocyclic]alkyl(C=2~7)idene]bis[alkyl(C=1~6)phenol]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22(환) | Palmitoyl chloride (CAS No. 112-67-4) |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2(피부 자극성) ○ 피부과민성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23(환) |
2,2,2-Tifluoro-1-(trifluoromethyl)ethyl exahydro-6-[(2-methyl-1-oxo-2-propen-1-yl)oxy]-2-oxo-3,5-mano-2H-cyclopenta[b]furan-7-carboxylate polymer with 3,5-bis[(2,2,2-trifluoroacetyl)oxy]tricyclo[3.3.1.13,7]dec-1-yl 2-methyl-2-propenoate and 3,3,3-trifluoro-2-hydroxy-1,1-dimethyl-2-(trifluoromethyl)propyl 2-methyl-2-propenoate, di-Me 2,2'-(1,2-diazenediyl)bis[2-methylpropanoate]-initiated
(CAS No. 1370726-06-9)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24(환) | 1,3-Benzenedicarbonyl dichloride polymers with 1,6-naphthalenediol(ethenylphenyl)methyl derivs., di-1-naphthalenyl esters (CAS No. 1884421-47-9) |
○ 피부과민성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25(환) |
2-(7-Fluoro-1-dibenzofuranyl)-4,6-diphenyl-1,3,5-triazine
(CAS No. 2608651-84-7)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26(환) |
Alkyl(C=1~3)alkenoic(C=3~5) acid polymer with (dialkyl(C=1~3)amino) alkyl(C=2~4) alkyl(C=1~3)acrylate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27(환) |
10-[10-(1-Naphthalenyl)-9-anthracenyl]-benzo[b]naphtho[1,2-d]furan
(CAS No. 1256544-52-1)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28(환) |
[1,1'-Biphenyl]-yl-[(carbopolycyclic)phenyl]-[terphenyl]-4-amin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29(환) |
Carbomonocyclic heteromonocyclic dibenzofuran heteropolycycl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30(환) |
Azo-hydro-oxo-carbopolycyclic sulfonic acid reaction product with [[[(substituted-alkyl(C=1~6)carbomonocyclic)alkyl(C=1~6)alkyl(C=2~7)]carbomonocyclic]alkyl(C=2~7)idene]bis[alkyl(C=1~6)phenol]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31(환) | 4-Bromo-α,α,α-trifluoro-m-toluidine (CAS No. 393-36-2)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2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32(환) |
([Biphenyl]-yl-carbopolycyclic)heteropolycycl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33(환) |
2'-Bromospiro[9H-fluorene-9,9'-[9H]xanthene]
(CAS No. 1477458-14-2)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34(환) | 4,5,6,7-Tetrahydro-6-methyl-1H-benzotriazole (CAS No. 32987-13-6)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1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35(환) | 2,2-Dimethyl-4-(trimethoxysilyl)-1-butanamine (CAS No. 157923-74-5)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2(피부 자극성) ○ 피부과민성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36(환) |
1-Bromo-8-chlorodibenzofuran
(CAS No. 2173554-83-9)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37(환) |
7-Chloro-5-phenylbenzo[b]naphtho[2,1-d]furan
(CAS No. 2411141-58-5)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38(환) |
1-Ethylcyclopentyl 2-methyl-2-propenoate polymer with 2-(2,2,3,3-tetrafluoro-1-oxopropoxy)-1-[(2,2,3,3-tetrafluoro-1-oxopropoxy)methyl]ethyl 2-methyl-2-propenoate
(CAS No. 1375105-65-9)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39(환) |
Carbomonocyclic heteromonocyclic heteropolycyclic phenyl carbazol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40 | Alkyl alkenoic(C=3~7) acid polymer with alkyl[oxy(alkylene)](alkenoate(C=3~7)), 1-cyclohexyl-1H-pyrrole-2,5-dione, alkyl(C=8~15) alkylalkenoate(C=3~7), heteromonocyclic alkyl alkylalkenoate(C=3~7), mercaptoalkanoic(C=3~7) acid and tert-alkyl(C=4~8) peroxyalkyl(C=2~6)alkanoate(C=6~10) | ○ 발암성 구분 1B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41 |
Formaldehyde polymer with 2,7-naphthalenediol and substituted alkyn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42 |
hydroxycarbomonocycle polymer with substitutedbenzaldehyde and 3-Bromo-1-propyn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43 |
Fatty acids, (C=16~22)-unsaturated, dimers polymer with tetrahydro-disubstituted-heteropolycycle, alkyl alkenoic(C=2~7)acid oxiranylalkyl ester, dialkyl alkanediol(C=2~7), disubstituted-heteromonocycle and aminoalkanol(C=1~6)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44(환) | Boron reaction products with boron potassium oxide (B4K2O7) and potassium fluoride (K(HF2)) (CAS No. 68987-56-4)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45(환) | 3,5-Difluorophenol (CAS No. 2713-34-0) |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1A(피부 부식성)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2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46(환) |
2,5-Furandione polymer with ethenylbenzene reaction products with polyethylene-polypropylene glycol 2-aminopropyl Me ether
(CAS No. 162568-32-3)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47(환) | 1,3,5-Tris(2-methyl-2-propenyl)-1,3,5-triazine-2,4,6-(1H,3H,5H)-trione (CAS No. 6291-95-8)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3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48(환) |
N,N-Di(bicarbomonocyclic)carbomonocyclic heteropolycyclic amin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49(환) | ([Bicarbomonocyclic]-yl)-(dibenzo[b,d]thiophen-2-yl)heteropolycyclic-9-amine |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3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50(환) | B-9-Anthracenylboronic acid (CAS No. 100622-34-2)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3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51(환) |
B-9-Anthracenylboronic acid
(CAS No. 100622-34-2)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52(환) | 1-(Alkyl-heteropolycycle-yl)-N-(alkylalkyl(C=2~5))-alkyl-(alkylcarbomonocyclic)silanamine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3 |
1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1-253(환) |
(Thiodi-carbomonocyclic)bis-alkane(C=1~5)dione, bis(O-alkanoyl(C=2~6)oxime)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1-254(환) | Tetrahydro-3-methylthiophene 1,1-dioxide (CAS No. 872-93-5) |
○ 급성 독성 구분3(경구) ○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2(눈 자극성) |
1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 |
2-Propenoic acid, homopolymer, ester with alkyl(C=1~3)-substitutedpoly(oxy-alkane(C=2~4)diyl) and [tris(1-carbomonocyclicalkyl(C=2~4)) carbomonocyclic]-substitutedpoly(oxy-alkane(C=2~4)diyl), graft, sodium salt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2 | Amines, polyalkene (C=1~3) poly-, reaction products with maleated alkene (C=8~6)-alkene (C=6~12) polymer | ○ 피부 과민성 구분1A | 1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3 | Amines, polyalkene (C=1~3) poly-, reaction products with maleated alkene (C=8~6)-alkene (C=6~12) polymer | ○ 피부 과민성 구분1A | 1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4 | Amines, polyalkene (C=1~3) poly-, reaction products with maleated alkene (C=8~6)-alkene (C=6~12) polymer | ○ 피부 과민성 구분1A | 1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5(환) | 1-Bromo-2-methylbenzene (CAS No. 95-46-5) |
○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1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1 |
1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6(환) | 2,2-Difluoroethyl acetate (CAS No. 1550-44-3) |
○ 인화성 액체 구분3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7(환) | Dodecylbenzenesulfonic acid compd. with 1-amino-2-propanol(1:1) (CAS No. 42504-46-1)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2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8(환) |
Heteropolycyclic naphthalenyl carbopolycycle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9(환) |
2-Hydroxy-N,N,N-trimethylethanaminium, (OC-6-44)-triaqua[2-(hydroxy-κO)-1,2,3-propanetricarboxylato(4-)-κO1,κO2]ferrate(1-) (1:1)
(CAS No. 1336-80-7)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10(환) | (±)-Nornicotine (CAS No. 5746-86-1) |
○ 급성 독성 구분3(경구) | 1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1(환) | N-(2-Aminoethyl)-1,2-ethanediamine reaction products with glycidyl tolyl ether (CAS No. 84144-79-6)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1(피부 부식성) ○ 심한 눈 손상성/눈자극성 구분1(심한 눈 손상성) ○ 피부 과민성 구분1 ○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1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1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2(환) |
cis-1,2,3,6-Tetrahydrophthalimide
(CAS No. 1469-48-3)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13(환) | Hexanedioic acid polymer with 2,2'-(methylimino)bis[ethanol], di-(9Z)-9-octadecenoate (ester), compd. with chloromethane (CAS No. 1421663-75-3)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심한 눈 손상성/눈자극성 구분1(심한 눈 손상성)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4(환) | Matte, leadMatte, lead (CAS No. 84195-51-7) |
○ 피부과민성 구분1 ○ 발암성 구분1 ○ 생식세포 변이원성 구분2 ○ 생식독성 구분1A ○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구분1 ○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1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1 |
1000톤 이상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5(환) | 2,4,8,10-Tetraoxa-3,9-dithiaspiro[5.5]undecane 3,9-dioxide (CAS No. 3670-93-7) |
○ 급성독성 구분3(경구)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6(환) | Guanidine thiocyanate (CAS No. 593-84-0) |
○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1C(피부 부식성) ○ 심한 눈 손상성/눈자극성 구분1(심한 눈 손상성) |
1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7(환) | 3-Hydroxy-5-(hydroxymethyl)-2-methyl-4-pyridinecarboxaldehyde, hydrochloride (1:1) (CAS No. 65-22-5) |
○ 급성 독성 구분4(경구)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8(환) | (1Z)-1-Chloro-2,3,3,3-tetrafluoro-1-propene (CAS No. 111512-60-8) |
○ 고압가스 액화가스 | 1톤 미만 |
○ 취급 시 가스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가스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19(환) |
2-Propenamide polymer with dialkylsubstitutedalkyl(C=2~6)methacrylate, (methacryloyloxy)alkyl(C=2~6)-trialkylammonium halogenated, dialkyl-[[(alkyl-oxo-alkenyl(C=3~7))oxy]alkyl(C=2~6)]benzenalkanaminium halogenated, dialkyl-[[(oxo-alkenyl(C=3~7))oxy]alkyl(C=2~6)]benzenalkanaminium halogenated, alkylenesuccinic acid, hydroxy-(alkenoyl(C=3~7)substituted)acetic acid metal salt, metal alkylalkene(C=3~7)-sulphonate and dialkylacrylamide, sulfuric acid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20(환) |
Acrylamide polymer with dialkylsubstitutedalkyl(C=2~6)methacrylate, (methacryloyloxy)alkyl(C=2~6)-trialkylammonium halogenated, dialkyl-[[(alkyl-oxo-alkenyl(C=3~7))oxy]alkyl(C=2~6)]benzenalkanaminium halogenated, dialkyl-[[(oxo-alkenyl(C=3~7))oxy]alkyl(C=2~6)]benzenalkanaminium halogenated, alkylenesuccinic acid, hydroxy-(alkenoyl(C=3~7)substituted)acetic acid metal salt, metal alkylalkene(C=3~7)-sulphonate and dialkylacrylamide, sulfuric acid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21(환) |
N-Propylphosphorothioic triamide
(CAS No.916809-14-8)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22(환) |
2-Hydroxy-1,2,3-propanetricarboxylic acid, iron(2+) sodium salt (2:1:4)
(CAS No. 43160-25-4)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23(환) |
L-Ascorbic acid, 2-(dihydrogen phosphate), magnesium salt (2:3)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24(환) | Carbomonocycle carboxylic acid anhydride polymer with substituted bis[alkanol(C=2~6)] and alkane(C=3~7)triol, alkenoate | ○ 피부 부식성/피부자극성 구분2(피부자극성) ○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1(심한 눈 손상성) ○ 피부 과민성 구분1 ○ 호흡기 과민성 구분1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25(환) | Carbomonocycle carboxylic acid anhydride polymer with carbomonocycle carboxylic acid, substituted phthalic anhydride, oxybis[alkanol(C=2~6)] and alkyl(C=2~6)-(hydroxyalkyl(C=1~5))-alkane(C=3~7)diol | ○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2(눈자극성) ○ 피부 과민성 구분1 ○ 호흡기 과민성 구분1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26(환) |
Carbomonocycle carboxylic acid anhydride polymer with alkanoic(C=6~10) acid, substituted phthalic anhydride, oxybis[alkanol(C=2~6)] and hydro-hydroxy-, poly(oxy-alkane(C=2~6)diyl)
|
100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27(환) | 2-[2-[5-Amino-3-methyl-1-(3-sulfophenyl)-1H-pyrazol- 4-yl]diazenyl]-4,5-dichlorobenzenesulfonic acid, calcium salt (1:1) (CAS No. 111071-53-5) |
○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3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22-22-28(환) |
2-Methoxyethyl 2-methyl-2-propenoate
(CAS No. 6976-93-8)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29(환) |
Dihydro-(pentaalkenyl(C=2~9))-dioxoheteromonocycle polymer with alkenyl(C=15~22)-hydroxypoly(substituted-alkanediyl) and alkyl(C=16~23)-hydroxypoly(oxy-alkanediyl), compound with dialkyl(C=1~8)-alkane(C=2~9)diamine
|
10톤 미만 |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미스트 및 증기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
22-22-30(환) |
3-Cyclopentyl-1-[9-ethyl-6-(2-thienylcarbonyl)-9H-carbazol-3-yl]-1-propanone 1-(O-acetyloxime)
|
1톤 미만 |
○ 취급 시 분진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호흡용 보호구, 보호장갑, 보안경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취급 시 분진 등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
급성중독으로 인해서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한 경우 '중대산업재해'에 해당하므로 물질 안전보건자료(MSDS)가 항상 최신화되어 위의 공표된 사항이 반영되어 있는지, 현장에서 이를 제대로 적용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유용한 글]
[사고사례 공유] - 중대재해법 위반 입건 [두성산업 급성중독 사고]
열사용기자재검사 제조검사, 개조검사, 설치검사 필요서류 (0) | 2022.04.12 |
---|---|
안전화·보안경 착용 방법 (KCs인증품 확인) (0) | 2022.04.04 |
산업재해 사고사망 현황 공유 [고용노동부] (0) | 2022.03.16 |
산업재해 발생시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합니다. (0) | 2022.03.15 |
보호구 착용 지침 안내서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