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후 경영책임자에 요구되는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은
사업장에서 중요한 사항 입니다.
이에,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기업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35개 기업의 사례를 소개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우수사례집」을 발간 했습니다.
◦ 35개 기업의 사례들은 고용노동부 지방관서와 안전보건공단 등을 통해발굴되었으며,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대 핵심요소*별로 나누어져 수록되어 있다.
* ① 경영자 리더십 ② 근로자 참여 ③ 위험요인 파악 ④ 위험요인 제거‧대체‧통제 ⑤ 비상조치계획 수립 ⑥ 도급‧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⑦ 평가 및 개선
◦ 「경영자 리더십」에서는 ESSG(Environment, Safety, Social, Governance) 경영을 선포하며 안전보건에 대한 경영자의 확고한 의지와 비전을 제시한한국공항공사 등 9개 사례를 수록했다.
◦ 「근로자 참여」에서는 잠재된 유해·위험요인까지 잘 알고 있는 현장 근로자와 함께하는 안전관리 방법을 제시한 한국지엠(주) 부평공장의 ‘Safety Map’, 덕양산업(주)의 ‘DY 스마트 안전관리 앱’ 등 14개 사례를 수록했다.
◦ 「위험요인 파악」에서는 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굴하여 제거하는 ㈜만도 원주공장의 ‘안전보건 모델라인’ 등 5개 사례를 수록했다.
◦ 「위험요인 제거․대체‧통제」에서는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선안의 ‘Body Cam’, 새로운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하여 위험을 통제한 삼성중공업(주) 거제조선소의 ‘QR코드 점검시스템’ 등 7개 사례를 수록했다.
◦ 「비상조치계획」에서는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초기 비상대응시스템인 삼양식품(주) 원주공장의 ‘문자발신시스템’, 5G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코스모신소재(주)의 ‘IoT 기반의 방재시스템’ 등 7개 사례를 수록했다.
◦ 「도급·용역·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에서는 협력업체 등 모든 이들이 안전하게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 현대자동차(주) 양재본사의‘재해예방능력평가’ 등 5개 사례를 수록했다.
◦ 「평가 및 개선」에서는 코오롱인더스트리(주) 울산공장의 ‘자체감사제도’ 등2개 사례를 수록했다.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은 일하는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기업 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제거·대체 및 통제방안을 마련·이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합니다.
개인의 노력과 의지만 으로는 산업재해를 예방 할 수 없습니다.
‘사람은실수하고, 기계는고장난다’는사실을인정하고,
각 기업별 특성을 고려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이행해야 합니다.
세부목차별 영창케미칼, 아진산업, 현대약품, Cj제일제당, 한국남부발전, 한국단자공업, 영남산업 포항제철소, 금호미쓰이화학, 대웅제약, 효성중공업, SK실트론,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우수사례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게시글의 연관 글]
우리나라 중대재해 현황 및 감축로드맵_고용노동부 (0) | 2022.12.23 |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개정관련 전문가 토론회 결과 ('22.09.01) (0) | 2022.09.02 |
중대재해처벌법 자율점검표 양식 외(고용노동부_'22.07) (0) | 2022.07.25 |
중대재해처벌법 개정안 검토 방향 (0) | 2022.06.22 |
중대재해발생시 경영책임자 안전보건교육 실시 (0) | 2022.06.13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