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이 국내 토양정화업 및 토양관련전문기관 현황을 공유합니다. 토양 정화업(67개소, 반입 정화시설 26개소) 업체명, 대표자, 등록기관(서울,경기,부산,인천,울산,광주,강원,충북,충남,전남,전북), 등록번호, 등록일, 사무시실 소재지로 구분. 연번업체명대표자등록기관등록번호등록일사무실 소재지전화번호비고1㈜동명엔터프라이즈김주영서울제2005-1호2005-07-21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71(서초동)02-2188-8761반입정화시설2㈜드림바이오스곽무영서울제2005-9호2005-08-25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56, 코오롱테크노밸리 401호(가산동)02-3141-4083반입정화시설3에스케이에코플랜트㈜박경일서울제2005-10호2005-08-31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길 19(수송동)02-..
환경부가 발표한 2025년 수출입 폐기물 관리 지침이 개정됨에 따라, 폐기물의 해외 반출 및 반입 과정에서의 법적 절차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정된 내용과 함께 수출입 폐기물의 관리 절차, 관련 법규, 그리고 기업이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 [목차]수출입 폐기물이란?2025년 개정된 폐기물 관리 주요 내용품목별 폐기물 수출입 기준폐기물 수출입 절차불법 폐기물 반입, 반출시 처벌 규정폐기물 수출입시 기업이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 수출입 폐기물이란?수출입 폐기물은 해외에서 발생하여 국내로 반입되거나, 국내에서 발생하여 해외로 반출되는 폐기물을 의미합니다. 폐기물의 성격에 따라 일반 폐기물, 지정 폐기물, 재활용 가능 폐기물 등으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관리 기준이 달라집니다...
2024년.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순환경제'를 본격 추진 합니다. 안전하고 경제성이 있는 폐기물(자원)은 환경부가 순환자원으로 지정하여 규제를 면제 합니다. 순환경제에 대한 제도, 인증제도등을 자세히 정리 하였습니다. 순환자원 의미 기사 출처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600 폐기물(wastes)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사용(reuse) 또는 재생이용(recovery)하며, 불가피하게 남은 폐기물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원과 에너지의 흐름이 우리 생활과 산업에서 순환형태(생산→소비→재활용→열회수→처리)가 되도록 전환되어야 합니다. 기존 사회가 발생..
의료폐기물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 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별표 2에서 정하는 폐기물(폐기물관리법 제2조제5호) ※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에 따른 의료폐기물 발생기관에서 발생하는 것에 한함 의료폐기물 발생기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3에 의거, 1.「의료법」제3조에 따른 의료기관 2.「지역보건법」제7조 및 제10조에 따른 보건소 및 보건지소 3.「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제15조에 따른 보건진료소 4.「혈액관리법」제2조제3호의 혈액원 5.「검역법」제30조제1..
수출입폐기물 관리 지침서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환경부 생활폐기물과 2023년.) 수출입 폐기물 관리 지침서 Ⅰ. 개요 1. 지침의 목적 - 폐기물의 부적절한 수출입 방지와 사후관리를 통해 수출입 폐기물 안전관리 강화 2. 주요내용 ① 규제․관리 제외 대상, ② 수출입 불가 품목, ③ 규제․관리 판별기준, ④ 수출입 폐기물 반출명령 기준, ⑤ 주요 품목별 규제․관리 판별 방법, ⑥ 수출입폐기물 점검 기준 3. 적용범위 - 유역(지방)환경청의 폐기물 수출입 허가․신고 관련 업무 4. 시행시기 : 통보일로부터 시행함. Ⅱ. 지침 세부 내용 1. 수출입규제․관리폐기물 제외 품목 □1「폐기물관리법」시행규칙 [별표 5의3], [별표 16]의 방법으로 재활용한 재생원료나 재활용제품 예1) 폐플라스틱을 펠릿(F..
미나마타협약으로 수은은 친환경적인 처리가 필수적입니다. '수은 폐기물'이란 수은과 폐램프, 온도계 및 협압계, 체윤계등 을 통칭합니다. 수은 함유 폐기물을 회수처리 하는 업체 및 수은함유한 폐기물 관리 안내서를 첨부합니다. 수은 수집, 운반, 처리업체 공유 □ 수집‧운반업체 번호 영업대상 폐기물 업체명 소재지 연락처 비고 (관할청) 1 수은함유 폐계측기기 (11-01-02) 이엔래비스(주)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호곡리 230-192 031-416-3515 한강유역환경청 2 수은함유 폐기물 (11-01) 베이스환경 충북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정자1길 151 041-567-5679 금강유역환경청 3 수은함유 폐기물 (11-01) 범유산업(주) 전북 정읍시 정우면 정우길 79-13 063-538-8686 전북..
토양환경보전법 제2조(정의)에 의거 5. "토양정화"란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처리 등의 방법으로 토양 중의 오염물질을 감소, 제거하거나 토양 중의 오염물질에 의한 위해를 완화하는 것을 말한다. 토양환경보전법에 의거 토양정화업의 등록요건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해당 기준에 맞는 토양정화업, 토양오염조사기관, 누출검사기관, 토양환경평가기관, 위해성 평가기관을 공유합니다. ('22년 환경부 자료) 토양정화업 등록기관 연번 등록기관 기관명 소재지 전화번호 비고 1 서울특별시 ㈜동명엔터프라이즈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로 131 02-2188-8733 반입정화시설 2 서울특별시 ㈜드림바이오스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56 02-3141-4083 반입정화시설 3 서울특별시 에스케이에코플랜트㈜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반 가정에서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는 대부분 공동으로 처리하거나 일부 주택의 경우 가정용 음식물류 폐기물 용기를 구입하여 별도로 처리합니다. 만약 음식물쓰레기를 일반 쓰레기등과 혼합 배출시 + 배출 및 처리방법 위반시는 폐기물관리법 제15조 위반으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습니다. 전국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을 공유하오니 다량 음식물 배출 사업장에 대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량배출사업장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다량배출사업장이란? 1일 평균 총 급식 인원 100인 이상인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유치원은 1일 평균 총급식인원 200명 이상, 사회복지시설 집단급식소 제외), 사업장 규모가 200제곱미터(구군조례에 따라 3,000제곱미터) 초과인 휴게음식점 및 일반음식점 영업을 하는 자 대규모 ..
"지정폐기물"이란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폐산 등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을 말합니다. (폐기물관리법 제2조에 의거함) 지정폐기물의 종류별 처리방법 구 분 소 각 고온소각 고온용융 고형화 매 립 중화,안정화,정제등 폐산, 폐알카리 고 상 ○ ○ 액 상 ○ ○ ○ 폐 유 고상·액상 ○ ○ 타르핏치류 ○ ○ 폐 유기용제 할로겐족 ○ 기타 ○ ○ 폐합성고분자화합물 폐합성수지 ○ ○ 폐합성고무 ○ 폐페인트 및 폐락카 ○ 폐 석 면 ○ ○ 폐흡수제, 폐흡착제 ○ ○ ○ ○ 폐 농 약 ○ ○ ○ PCB함유 폐기물 ○ ○ 오 니 ○ ○ ○ ○ 안정화,고형화처리물 ○ 폐유독물 ○ ○ ○ ○ 광재, 폐주물사,폐사, 폐내화물,도자기조각 폐촉매,분진,소각재 ○ ○ ○ ..
수은함유 폐기물은 취급 과정에서 인명적, 환경적 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수은함유폐기물을 취급/처리시 지켜야할 주의 사항과 준비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주요 용어] "폐기물"이란 폐기물 관리법 제2조에서 정의합니다. "수은함유 폐기물"은 수은과 그 화합물을 함유한 폐램프, 온도계, 혈압계, 체온계등을 말합니다. "취급자", "담당자"는 수은함유 폐기물을 수집·운반·보관·처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1. 수은함유 폐기물 포장방법 수은함유 폐기물 보관 장소와 보관 상자에는 폐기물의 종류, 관리책임자 성명, 취급주의사항(보관/운반/처리 구분)을 기재 해야 합니다. 보관표지의 규격은 가로 60CM 이상, 세로 40CM 이상,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선과 검은색 글자 입니다. 또한, 수은함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