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건설산재예방정책과에서 2023년 개정판 동절기 안전보건길잡이를 발간 하였습니다.
- 목차, 주요 교육자료, 파일을 공유합니다.
[동절기 안전관리 길잡이 요약]
1644-8595 로 전화하면 밀폐공간 작업전 전문가가 현장 확인 및 산소가스/유해가스 측정, 안전교육, 가스측정기/송기마스크등을 무료료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중소/중견기업에서 반드시 이용해보시길 바랍니다.
2023.01.25 - [안전(Safety)/산업안전] - 동절기 사고사례 자료 공유 (산업안전공단)
동절기 사고사례 자료 공유 (산업안전공단)
동절기는 일반적으로 11월~2월 또는 12월~2월 사이의 기간을 말하며, '겨울철'이라고 합니다. 동절기에는 한파, 강풍, 동결등의 특성으로 난방과 전열기구 사용이 급증하는 시기 입니다. 이에 동절
yeosuesh.tistory.com
사업장에서 한랭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적절한 체온 유지: 사업장에서는 근로자들이 적절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따뜻한 옷을 제공하고, 난방 시설을 충분히 가동해야 합니다.
2. 휴식 시간 제공: 근로자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휴식을 취하며, 휴식 시간에는 따뜻한 곳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안전 교육 실시: 사업장에서는 근로자들에게 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안전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안전 교육에서는 한랭질환의 종류와 증상, 대처 방법 등을 교육하고, 근로자들이 이를 숙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4. 응급 조치 장비 구비: 사업장에서는 응급 조치 장비를 구비하고, 근로자들이 한랭질환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5. 작업 환경 개선: 사업장에서는 작업 환경을 개선하여 근로자들이 추위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야외 작업 시에는 적절한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작업 시간을 조절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에서 작업 전후에 자율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을 실시하면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여 그 위험을 제거하거나 통제할 수 있습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을 실시할 때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체크해야 합니다
- 보호구 지급 및 착용 여부
- 안전보건표지 부착 여부
- 안전보건교육 실시 여부
- 안전작업절차 지키기 여부
작업 후 안전점검을 실시하면 작업 중 발생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다음 작업 시에는 더욱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작업 후 안전점검을 실시할 때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체크해야 합니다.
- 작업 중 발생한 위험요인 파악
- 발생한 위험요인 제거 및 통제
- 다음 작업 시 참고할 수 있는 안전조치방안 마련
안전점검을 실시할 때는 자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작업 전후에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부파일 다운로드 주소 공유합니다. (https://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231101411)
- [안전(Safety)/산업안전] - 동절기 안전교육 및 대책
동절기 안전교육 및 대책
동절기 기준 동절기라고 함은 '겨울철' '겨울철 기간'을 의미함. 보통 11월 ~ 2월 또는 12월 ~ 2월 사이의 기간을 말함. 동절기에는 한파, 폭설, 강풍 및 동결 등의 기후적 특성이 나타나며 이에 따라
yeosuesh.tistory.com
환경안전보건 실무자 채팅방 안내
누구나 오셔셔 편하게 말씀하실 수 있는 방을 개설 하였습니다.
1) 환경안전보건 질문&답변
2) 최신 채용정보 공유
2024년 안전보건교육 메뉴얼 (고용노동부) (2) | 2024.01.06 |
---|---|
비상상황 대처방법_(중대재해 처벌법 대비) (0) | 2023.12.18 |
안전난간 설치기준, 체크리스트(법령 및 Kosha guide) (0) | 2023.07.11 |
사고,사망사례 분석 자료 (중대재해사고 방지) (4) | 2023.07.09 |
신규 화학물질의 명칭 공표_'23.6월 (+화학물질 검색방법) (0) | 2023.06.30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