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_보건_환경

동절기는 일반적으로 11월~2월 또는 12월~2월 사이의 기간을 말하며, '겨울철'이라고 합니다. 동절기에는 한파, 강풍, 동결등의 특성으로 난방과 전열기구 사용이 급증하는 시기 입니다. 이에 동절기는 특수한 사고가 다수 발생하며 집중관리가 필요합니다.

 

[목차]

1. 동절기 사고방지 관리방법

2. 동절기 사고사례 자료

 

1. 동절기 사고방지 관리방법

- 난방・전열기구, 용접 작업에 대한 화기 관리책임자 지정 및 점검상태 이상 여부 확인

- 화재 발생에 대비한 근로자 화재 예방 교육 실시 여부 확인 (소화시설 사용법, 대피로 인지 등)

- 화재위험작업 장소에 화재감시자 배치

- 밀폐공간 작업시 통풍 및 환기시설 작동 여부 확인

 

- 동절기 빈번히 사용하는 방동제 등의 유해물질관리(MSDS) 및 근로자 교육 실시 여부

- 동절기 폭설에 대비한 비상용 제설자재, 장비 확보 여부 및 비상 대기반 편성 및 운영 여부

- 예상치 못한 폭설・강풍 시 가설구조물(비계, 동바리, 흙막이지보공 등)의 변형 및 붕괴 예상 여부

- 위험요인 발견 시에는 관계기관에 신속하게 신고

 

동절기 작업자의 건강관리도 필수로 확인해야 합니다.
뇌∙심혈관 질환 예방 위해 작업자 스스로 충분한 휴식과 과도한 음주 및 흡연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2. 동절기 사고사례 자료

*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 발췌.

사고사례1)

주택 공사 현장내 콘크리트 타설 후 보온양생용으로 피워놓은 드럼난로의 숯탄 보충 작업을 하던 중 숯탄이 연소되어 일산화탄소 중독/질식하여 2명 사망한 사고임

사고사례1
사고사례1

사고사례2)

공사 현장 옥상에서 용단작업을 하던 중 발생된 불티로 1층에 있던 부직포에 화재가 발생하였고, 비계 외부의 분진망으로 옮겨 붙은 화염에 작업자들이 화상을 입어 1명이 사망, 2명이 부상

사고사례2
사고사례2

사고사례3)

아파트 옥탑2층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보온양생용으로 피워놓은 드럼난로의 코코넛탄이 연소되며 일산화탄소가 발생, 중독/질식하여 사망한 사고

사고사례3
사고사례3

사고사례4)

아파트 옥탑2층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보온양생용으로 피워놓은 드럼난로의 숯탄 보충작업을 하던 중 연소되어 발생한 일산화탄소에 이해 중독/질식하여 사망한 사고

사고사례4
사고사례4

[같이 읽으면 유용한 글]

 [안전(Safety)/산업안전] - 동절기 안전교육 및 대책

 

동절기 안전교육 및 대책

동절기 기준 동절기라고 함은 '겨울철' '겨울철 기간'을 의미함. 보통 11월 ~ 2월 또는 12월 ~ 2월 사이의 기간을 말함. 동절기에는 한파, 폭설, 강풍 및 동결 등의 기후적 특성이 나타나며 이에 따라

yeosuesh.tistory.com

- [안전(Safety)/산업안전] - 한랭질환 대비 예방 자율점검표 양식, 대응요령, 응급조치 방법

 

한랭질환 대비 예방 자율점검표 양식, 대응요령, 응급조치 방법

겨울철 한파, 한랭질환 대비 예방 안전교육자료와 자율점검표 양식을 공유합니다. 목차 - 한랭질환대비 안전교육자료 - 한랭질환대비 자율점검표 - 한파 단계별 대응요령 및 응급조치 방법 한랭

yeosuesh.tistory.com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