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식재해는 재해자의 절반이 사망('2012~'2021년에 발생한 196건 중 사망 165명, 부상 175명)할 정도로 치명적인 재해입니다. 일반적인 사고 재해보다 훨씬 높은 47%의 사망률을 나타냅니다.
밀폐공간_안전작업_확인CheckList
이러한 질식재해는 봄철(3~5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다음으로 여름철(6~8월)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이 기간 중 오폐수처리장, 정화조, 하수도 맨홀공사, 축사분뇨처리 작업에서 다발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화학설비탱크, 배관 등 작업 중 질식재해는 연중 수시 발생
이에, 밀폐공간 작업 질식재해예방 자체점검표를 아래와 같이 배포하오니
밀폐공간 작업 질식재해 에방에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밀폐공간 질식예방 자체점검 CheckList
밀폐공간자체점검표
밀폐공간작업시 주요 안전작업 절차
1. 작업장소에 대한 철저한 '질식예방 교육'
- 작업시작 전 질식위험성 및 안전작업절차 교육
2. 출입구 출입금지 표지판 설치하여 출입제한, '밀폐공간 전용 안전작업허가서'
- 측정장비, 환기팬, 공기호흡기, 무전기, 구조용장비 비치
3. 밀폐공간에 들어가는 순간마다 가스농도 측정
4. 작업장소는 항시 환기하며 밀폐공간내부 공기 비율 유지
5. 작업시에는 항시 안전관리자 비치하여 내부 작업자와 연락체계 유지/구축.
밀폐공간작업시 필요한 안전장비 및 산업안전공단의 장비지원 정보를 아래 자료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밀폐공간작업(안전보건공단자료).pdf
0.57MB
[관련 글]
1. - 10년간 밀폐공간 사고로 인한 피해, 작업 안전수칙
2. - 산업용 호흡용 보호구 종류와 사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