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시공시 설치하는 가설물의 일종인 비계는 작업 바닥이나 통로로서 사용됩니다. 비계라고 말하는 것은 대부분은 '강관비계'입니다. 비계의 용도와 구조를 분류하고 설치기준을 정리하였습니다. 비계의 용도별, 구조별 분류 고소작업을 위해서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비계는 날로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용도에 의해서, 재료에 의해서, 설치 형식에 분류됩니다. 비계의 조립·해체 또는 변경 작업 교육 비계의 조립순서 및 방법에 관한 사항 비계작업의 재료 취급 및 설치에 관한 사항 추락재해 방지에 관한 사항 보호구 착용에 관한 사항 비계 상부 작업 시 최대 적재하중에 관한 사항 그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등. 강관비계 설치기준은 회사 내부규정마다 조금씩 상이하나, 위의 기준대로 설치하면 규정과 안전작업을 동..
건축물 기계설비의 안전 및 성능 확보와 효율적 관리를 위해 건축물 등에 설치된 기계설비의 소유자 및 관리자는 유지관리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선임 또는 시설물 관리 전문업체에 위탁해야 합니다. ['20년 4월 18일 이후에 건축허가를 신청한 건축물 등은 완공일 이후 30일 이내에 유지관리자를 선임해야 함] 관련 기계설비 유지관리대상 건축물, 선임자격/선임 인원수, 경력 인정기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미선임시 500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대상입니다. (기계설비 유지관리자로 선임된 사람은 선임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 미이수시 100만 원 과태료)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대상 건축물 및 선임자격/선임 인원 1. 기..
국내 정유사의 'P' 등급 사업장 담당자의 기고글입니다. [목 차] 1. PSM은 왜 하는가? 2. PSM의 대상은 무엇인가? 3. PSM이 뭔지는 알겠는데, 법령이랑 다른 블로그 보니까 제출? 심사? 그것이 무엇이냐? 4. 그래서, PSM의 요소는 무엇이냐, 12대 요소 12대 요소 그러는데 이거 다 외워야 함? 5. 마치며.. 1. PSM은 왜 하는가? PSM (Process Safety Management)란, 한국말로 “공정안전관리” 제도의 줄임말로서, 산업안전보건법 제 xx조 및 기타 하위 법령에 의거하여 법적으로 실시하는 안전관리 제도입니다. PSM 제도의 유래는, 미국 OSHA (미국 산업안전보건청)에서 유해., 위험비 및 위험물질 140종, 인화성 가스, 인화성 액체 등에 대한 안전관리를 ..
안전,보건관리자, 산업보건의 및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배치기준 해당 자료는 고용노동부에서 만든자료로 기존의 법령으로 복잡하게 서술되어 있던 것을 보기 좋게 표로 만들었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활용하시어 법 위반사항이 없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 안전관리자 ▲ : 보건관리자 * ▲가 있는 경우, 보건관리자 중 의사가 없으면 산업보건의 1명을 추가 채용하여야 함 ❎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안전관리자나 보건관리자가 없는 20인~50인 미만 사업장 ) [관련 글] [안전(Safety)/산업안전] -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교육 취업정보 ※ 건설업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공사금액 80억원 이상 800억원 미만 1명 이상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 1,500억원 미만 2명 이상 공사금액 1,500억원 이상 2,200억원 미만..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최근 연이어 발생한 지붕 채광창과 슬레이트 깨짐 사고사례를 반영하고 핵심 안전수칙도 보완한 '지붕공사 작업안전 매뉴얼'을 발간하였습니다. [채광창, 슬레이트 등 깨지기 쉬운 지붕재 공사 안전수칙] 고소작업대, 이동식 비계 등을 활용, 가능하면 지붕 밑에서 작업할 수 있는지 확인 작업통로용 발판과 채광창 안전 덮개 설치 확인 지붕 가장자리에는 안전난간 또는 추락 방호망 설치 확인 작업자는 안전대와 안전모등 기본 안전보호구 착용 확인 지붕작업 작업전 작업계획 지붕 아래에서 작업 여부를 우선 검토하여 지붕 상부 작업을 최소화하고, 부득 이하게 상부에서 작업을 진행 시 세부 작업별로 작업계획을 수립 • 각 세부 작업별 작업 순서 등 작업 매뉴얼 검토 • 지붕 조립 상세도 검토 ..
이동식 크레인의 종류와 작업 허용 풍속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련 KOSHA Guide 지침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가이드별 일부 내용 상이) . KOSHA GUIDE 지침 번호 C-48-2013 건설기계 안전보건 작업 지침 . KOSHA GUIDE 지침 번호 C-69-2012 이동식 크레인 안전보건 작업 지침 . KOSHA GUIDE 지침 번호 C-85-2013 트럭 탑재형 크레인 안전 보건 작업 지침 . KOSHA GUIDE 지침 번호 C-99-2015 이동식 크레인 양중 작업의 안전성 검토 지침 = 목차 = 1) 이동식 크레인의 정의 2) 이동식 크레인의 종류 3) 이동식 크레인의 안전작업 절차 4) 주요 Q&A 1. 이동식 크레인의 정의 원동기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불특정 장소에서 ..
혼합물 용기의 고압가스 판단 여부 - Raoult's Law를 적용하여 상용 온도나 35℃의 압력이 0.2㎫ 이상인 경우 * Raoult's Law 액상 혼합물에서 어느 성분의 증기압은 그 성분의 과 에 비례한다. Pi = xi * P'i ..........................................(1) Pi: 기상에서 i성분만의 분압, xi: 액상에서 i 성분 몰분율, P'i: 액상온도에서 i 성분의 증기압 P = P1 + P2 + ... = Σ Pi = Σ (xi * P'i) ......(2) P= 액상의 온도에서 액과 평형을 이루고 있는 기상의 전체압력 혼합물 고압가스 판단 사항 예시 § 0℃로 운전하는 혼합물(에틸렌 1,000kg, 벤젠 50,0000kg) 혼합물의 고압 가스 판단..
고압가스(高壓 -, high pressure gas) 쉽게 풀면, 높은 압력을 가하여 압축시킨 가스를 말합니다. 상용의 온도에서 게이지 압력이 10 ㎏f/cm2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0 ㎏f/cm2 이상이 되는 것 또는 35℃의 온도에서 압력이 10 ㎏f/cm2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를 말한다. 단, 아세틸렌가스·액화가스 등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준이 정해져 있다. 암모니아 합성, 석유 정제, 폴리에틸렌 제조, 메탄올 합성 등의 화학공업에서는 고온고압가스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스프레이 등 고압가스의 팽창에 의하여 일을 하게 하는 응용 분야도 있다. 특정고압가스(特定高壓-, specification pressure gas)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의거 고압가스 제조에 있어 저장능력..
지게차 특성 지게차 (지게車) 차량의 앞부분에 두 개의 길쭉한 철판이 나와있어 짐을 옮기거나 싣고 위아래로 움직이는 차 화물 적재 장치인 포크, 램, 승강장 치인 마스트가 차량의 전면부에 장착되고 특수자동차 중 사고 사망 1위인 기계 설비입니다. 지게차를 취득하기 위한 자격은 어렵지 않습니다. 지게차 운전 자격 동력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기식 타이어를 부착한 지게차가 대상이며 3톤을 기준으로 조종면허가 다르게 발급됩니다.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서 지게차 조종자격 시행시기가 유예되었고 [지게차 조종 전문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 자격을 인정하는 등에 대해서 개정 사항이 있습니다. 지게차 사고통계 지게차로 인한 최근 5년 재해자 수는 5,000명이 넘습니다. 부딪힘, 끼임 사고가 전체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소화전 구성요소 및 점검방법, 소화전 Checklist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꼼꼼한 관리로 소방안전에 힘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 소화전 참고사항 및 점검방법 1) 소화전, 소화전호스함 표시 : 부착된 명칭이 탈락 또는 식별이 가능한지 확인 2) 관창, 호스, 호스렌지, 밸브렌지 수량 확인 : 관창(직방사겸용/포) 1개이상, 호스 2본 이상, 호스렌지 2개이상, 밸브렌지 1개 이상 3) 위치표시등 펌프기동표시등, 발신기 확인 : 위치표시등(적색)은 상시 점등, 기동표시등(적색)은 주펌프가 기동될 경우 점등되야 합니다. 4) 소화전 사용방법(옥내/옥외 소화전 공통) 스티커 탈락 및 식별여부 확인 2. 관창 및 호스 보관 기준 1) 옥내 소화전 - 밸브와 호스, 관창을 연결한 상태로 보관 - 호스걸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