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7일 이후 5인 이상 사업장은 '중대재해처벌법'이 포함되므로, 사실상 모든 사업주는 중대재해를 대비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관리 해야 합니다.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방법과 정부지원 방안을 정리하였습니다. 세부 안내 가이드는 하단에 파일 첨부하였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과 안전보건관리체계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이 2022년 1월 27일부터 50인 이상 사업장에 전면 적용되었고, 2024년 1월 27일부터는 5인 이상 사업장으로 그 적용 대상이 확대됩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의무를 주요 골자로 하고 있지만, 소규모 사업장의 해당 의무이행에 관하여 우려가 특히 큰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안전보건공단에서는 ..
2024년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시간의 기준 고시가 아래와 같이 개정 되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22.1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도록 위임된 안전관리자 등이 다른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시간의 기준을 규정 하였습니다. 재해위험이 높은 업종 대분류 세부업종 광업 무연탄광업 금속광업 암석채굴·채취업 석탄선별업 기타광물채굴·채취업 석회석(백운석,대리석포함)광업 토사채굴·채취업 쇄석채취업 제조업 연탄및응집고체연료생산업 석재및석공품제조업 석회제조업 일반제재및목재약품처리업 기타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철강및합금철제품제조업 비철금속의제련또는정련업 콘크리트또는플라스틱선박건조및수리업 동·식물유지제조업 철근콘크리트제품제조업 시멘트제조업 코크스및석탄가스제조업 철강또는비철금속주물제..
2023년 9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안전보건교육규정을 반영한 2024년 안전보건교육 메뉴얼을 공유합니다. 세부파일은 첨부하였습니다. 2024년 안전보건교육 메뉴얼 개정사항 ◦ 그간 산업현장에서 꾸준하게 요구해온 근로자 정기교육 주기확대, 타법에 따른 안전교육 중복 완화 등 교육 관련 규정을 개선하여사업장의 부담을 완화하고 현장 작동성을 높이는데 기여 □ 주요 내용 ➊ (보수교육 이수기간) 직무교육 대상자의 보수교육 이수기간을신규교육을 이수한 날을 기준으로 전후 3개월(총 6개월)에서 전후6개월(총 1년)로 확대(제29조제1항) ➋ (정기교육 주기) 근로자 정기교육 주기를 매분기에서 매반기로확대(별표 4 제1호가목) ➌ (단기근로자의 교육시간) 1개월 이하 기간제 근로자 및 일용근로자의채용 시 교육시..
비상상황 : 뜻밖의 위험하고 긴급한 상황이라는 뜻. '산업안전' 측면에서 봤을경우 좀더 자세히 풀어보면, 1) 비상상황은 추락, 부딪힘, 끼임, 화재, 폭발, 화학물질 누출 등으로 사상자가 발생한 상황 또는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상황을 말한다. 2) 비상상황은 사상자의 발생 및 중대재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초기 대응을 확실히 하여 피해를 줄이도록 미리 준비하여야 한다. 3)비상상황은 사업장 내ㆍ외의 인적, 물적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황이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ㆍ사 모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용노동부에서 발간한 '사업장 비상상황 대비 가이드 라인'을 공유합니다. 비상상황 대응 준비 1) 비상상황 대비 원칙 ① 근로자의 생명 보호를 최우선 사항으로 둔다. ② 예상 가능한 비상상황에 대..
고용노동부 건설산재예방정책과에서 2023년 개정판 동절기 안전보건길잡이를 발간 하였습니다.- 목차, 주요 교육자료, 파일을 공유합니다. [동절기 안전관리 길잡이 요약]동절기란? : 겨울철 기간(12월 ~ 2월) 을 의미하며, 기온, 강수, 한파, 대설, 강풍 등의 기상특보에 주의해야 함동절기 재해발생 현황 : 겨울철에는 사업장 수와 근로자 수가 감소하므로 사망사고가 적게 발생하지만, 떨어짐, 무너짐, 중독, 질식 등의 사고가 많이 발생함 동절기 위험요인별 안전관리 : 추락, 무너짐, 화재, 폭발, 중독, 질식 등의 위험요인에 대한 예방대책과 사고사례를 소개 동절기 건설현장 핵심점검사항 [동절기 주요 행동 가이드]콘크리트 보온 양생 시 갈탄·숯탄 등 화석연료 대신 열풍기 사용폭설에 대비한 비상용 제설자재..
안전난간의 설치기준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규칙 제13조(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조건), 추락재해방지표준안전작업지침, KOSHA GUIDE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관련 법령 및 설치기준,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공유합니다. *안전난간 : 안전난간은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가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계단참, 작업면, 발판 사다리, 통로 등에 설치되며, 안전난간은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난간기둥 및 발끝막이판 등으로 구성 됩니다. 이러한 안전난간의 각 부분 접합부는 쉽게 변형, 변위를 일으키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표준안전난간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안전난간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조(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 사업주는 근로자의 추락 등의 위험을..
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한 위험성평가시스템을 통해 과거 사고사망사례 분석자료를 공개하였습니다. 지난 6년간의 총 4,400건의 사고 사례로 중소/중견기업의 위험성평가에 도움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 고위험요인(SIF: serious injury & fatality)은 사망 또는 정상적인 생활에 치명적인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고위험작업·상황 및 재해유발요인을 말함 그간 일부 재해사례만 사고개요와 재해 원인 등을 제공하였으나, 이번에는전체 사고사망사례를 대상으로 사고개요, 기인물, 고위험작업/상황, 재해유발요인, 위험성 감소대책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공개한다. 위험성평가지원시스템(KRAS)에 엑셀 자료 형태로 제공되므로 누구든지 자료를 내려받거나검색할 수 있다. * 위험성평가지원시스템(http://kras.ko..
산업안전보건법 제108조(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 및 위험성 조사) 3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153조에 따라 신규화학물질의 명칭 및 유해성/위해성, 안전상의 조치사항을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 KOSHA MSDS 검색이나, NCIS CAS no. 검색 불가한 물질이 많습니다. ※ 일련번호: 23-22 또는 23-23, 공표년도-접수년도-접수번호 ※ 유해성·위험성: 사업주가 제출한 독성자료의 범위 내에서 국내외 화학물질정보 DB 등을 활용하여「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23-9호)에 따라 유해성·위험성을 분류 * 독성시험 등 추가 연구를 통해 새로운 유해성·위험성 정보가 확인될 수 있음 ※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조치사항: 유해성·위험성 정보란에 기재사..
2023년 장마철(호우)는 최근 5년간 가장 길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호우로 인한 침수, 무너짐, 태풍강풍에 의한 2차피해, 습윤장소 전기사용등으로 인한 감전사고등 다양한 위험성이 존재하게 됩니다. 장마철 안전관리 방법, 장마철 사고사례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장마철이란? : 6월 중순에서 7월 하순의 여름에 걸쳐 많은 비를 내리며 "오랫동안 내리는 비"를 의미 합니다. 장마철(호우) 대비 활동 주요 위험 Point 1. 축대나 옹벽 균열부로 토사가 유실될 우려가 있는지 사전 검토 2. 주위의 배수로·배수공 등이 막혀있는 곳이 없는지 확인 3. 배전반, 분전반, 이동전선 등이 침수될 우려가 없는지 확인 4. 타워크레인, 비계 등의 설치상태를 점검하여 강풍에 대비 5. 위험요인 발견 시 즉시 작업중..
공정안전관리제도 (PSM)의 제도 합리화를 위해 공정안전보고서의 이행상태평가 규정 및 중대산업사고 예방센터 규정을 개정 하였습니다. *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고시)」(’23.5.30.) 「중대산업사고 예방센터 운영규정(예규)」(‘23.4.28.)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위험물질 누출, 화재 및 폭발에 따른 중대 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공정안전관리(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제도에 대해 그간 관련분야 전문가와 함께 업계 건의를 검토하여 현장 실정에 맞도록 행정규칙(고시, 예규)을 합리적으로 개정*하였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① 중대산업사고 부상의 기준을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으로 명확히 하고, ② 최근 반도체·디스플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