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 제108조 제3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153조에 따른 신규화학물질의 정보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고용노동부 공고 제2023-192호) 이번에 공표하는 신규화학물질 49종에는 ‘실릴벤젠(Silylbenzene), 팔라듐(II) 아세테이트(Palladium(II) acetate), 4-요오도톨루엔(4-Iodotoluene)’ 등이포함되었으며, 이 중 17종에서 생식세포 변이 원성, 급성 독성, 피부 부식성· 민감성, 수생환경 유해성 등이 확인되었다. * 검색 경로 : ① 전자 관보(gwanbo.mois.go.kr, ‘신규화학물질’ 검색), ※ 일련번호: 23-22 또는 23-23, 공표년도-접수년도-접수번호 ※ 유해성·위험성: 사업주가 제출한 독성자료의 범위 내에서 국내외 화학물질정보 D..
중소기업등 소규모의 사업장에도 안전보건교육이 피룡합니다. 고용노동부에서 배포한 2023년 소규모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자료를 공유합니다. 사업장 안전보건교육 강사 자격조건 주요 교육내용 사업주가 법 제29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을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가. 법 제15조제1항에 따른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나. 법 제16조제1항에 따른 관리감독자 다. 법 제17조제1항에 따른 안전관리자(안전관리전문기관에서 안전관리자의 위탁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라. 법 제18조제1항에 따른 보건관리자(보건관리전문기관에서 보건관리자의 위탁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고용노동부 공고 제2023-151호에 의거,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을 일부 개정함에 따라 아래와 같이 공고함.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의 목적 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제36조에 따라 사업주가 스스로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하여 관리·개선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위험성평가 방법, 절차, 시기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위험성평가 활성화를 위한 시책의 운영 및 지원사업 등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고시는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한다. 제3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위험성평가”란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
위험물안전관리법내 예방규정을 준수할 의무가 있으나, 이를 위반시 과태료를 부과. 그 과태료를 구체적으로 정함. 위험물안전관리법 과태료 일부기준 변경 위험물안전관리법 제39조제1항제6호의2에 의거, 제39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500만원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6의2. 제17조3항을 위반하여 예방규정을 준수하지 아니하는 자 「위험물안전관리법」 제17조3항 제17조(예방규정)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해당 제조소등의 화재예방과 화재 등 재해발생시의 비상조치를 위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예방규정을 정하여 해당 제조소등의 사용을 시작하기전에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예방규정을 변경한 때에도 또한 같다. ③ 제1항에 따른 제조소등의 관..
2023년 3월2일부터 신규로 시행되는 안전보건교육 안내서를 공유합니다. 안전보건교육 규정(제2023. 10호). 안전보건교육 안내서 주요 내용 참고 1 「안전보건교육규정(제2023-10호)」주요 개정내용 □ 개요 ◦ 산업안전보건교육 실효성 확보를 위해 교육내용 및 방법 등을 개선*하고제도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미비점** 등을 보완 * ①모바일 원격교육·비대면 실시간교육 인정 ②교육기관 자율성 부여 및 사후관리 강화 등 ** ①교육내용, 교육방법의 구체성 미흡 ②교육 이수 기준 불명확 ③법령개정 미반영 등 □ 주요 내용 ➊ (교육내용 명확화) 시행규칙 별표5에 따른 교육내용의 범위에서현장의위험성을 반영하여 교육내용을 선정 ➋ (교육형태 다양화) ①모바일기기를 통한 인터넷 원격교육(모바일 원격교육) ②줌(Z..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는 사업장에서 필수로 갖추고 관리해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 110조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에 의거 화학물질을 제조 및 수입하려는 자는 고용노동부에 작성 및 제출해야 합니다. MSDS에 대한 주요 정부질의 회신자료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내용이 많으니 필요한 부분만 검색하세요)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기재한 Sheet. 제조자명, 제품명, 성분과 성질, 취급상의 주의, 적용법규, 사고시의 응급처치방법 등이 기입되어 있다. 화학물질 등 안전 Data Sheet라고도 한다. MSDS교육 및 기록 [질문사항] MSDS 교육 및 기록안녕하세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 1..
동절기는 일반적으로 11월~2월 또는 12월~2월 사이의 기간을 말하며, '겨울철'이라고 합니다. 동절기에는 한파, 강풍, 동결등의 특성으로 난방과 전열기구 사용이 급증하는 시기 입니다. 이에 동절기는 특수한 사고가 다수 발생하며 집중관리가 필요합니다. [목차] 1. 동절기 사고방지 관리방법 2. 동절기 사고사례 자료 1. 동절기 사고방지 관리방법 - 난방・전열기구, 용접 작업에 대한 화기 관리책임자 지정 및 점검상태 이상 여부 확인 - 화재 발생에 대비한 근로자 화재 예방 교육 실시 여부 확인 (소화시설 사용법, 대피로 인지 등) - 화재위험작업 장소에 화재감시자 배치 - 밀폐공간 작업시 통풍 및 환기시설 작동 여부 확인 - 동절기 빈번히 사용하는 방동제 등의 유해물질관리(MSDS) 및 근로자 교육 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3조6항 및 규칙 4조항/규칙 7조에 의거 고압가스 기술검토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목차] 고압가스 기술검토 대상 개요 고압가스 기술검토 인허가 절차 요약 고압가스 기술검토시 준비 사항 고압가스 기술검토 대상 개요 제4항에 따른 허가신청을 하는 자는 그 시설 설치계획에 관하여 미리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기술검토를 받아 그 결과를 허가신청을 할 때 허가신청 서류와 함께 제출할 수 있다. 법적 근거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3조 6항/시행규칙 4조 1항/시행규칙 7조 * 시행령 3조 6항 제4항에 따른 허가신청을 하는 자는 그 시설 설치계획에 관하여 미리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기술검토를 받아 그 결과를 허가신청을 할 때 허가신청 서류와 함께 제출할 수 있다. * 시행규칙 4조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82조(구급용구)에 의거, 사업주는 응급처치에 필요한 구급용구를 갖추어 놓고 사용방법을 근로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구급용구 법규항목 ① 사업주는 부상자의 응급처치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구급용구를 갖추어 두고, 그 장소와 사용방법을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1. 붕대재료ㆍ탈지면ㆍ핀셋 및 반창고 2. 외상(外傷)용 소독약 3. 지혈대ㆍ부목 및 들것 4. 화상약(고열물체를 취급하는 작업장이나 그 밖에 화상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만 해당한다)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른 구급용구를 관리하는 사람을 지정하여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보건관리자별 지급가능 물품 의사 보건관리자 : 전문의약품(약사법 제2조), 일반의약품(안전상비의약품 포함), 의약외품 약사,..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정부와 산업계간 산업재해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는 개인의 생명, 가족의 행복을 파괴하고, 사회적 갈등, 국가적 손실을 초래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대재해 규모는 여전히 경제적 수준을 훨씬 상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목차] 1. 중대재해 현 상황 2.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3. 중대재해 Q&A 1. 중대재해 현 상황 -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정(‘20.1월), 중대법 시행(‘22.1월) 등 처벌을 강화하였으나, 8년째 사고사망만인율이 0.4 ~ 0.5‱대 수준에서 정체 - 중대법 시행에도 50인·억 이상 사업장 중대재해는 오히려 증가, 9~10월 대전 아울렛 화재, SPL 끼임사고, 안성 물류창고 붕괴 등 연이어 발생 - 제조‧건설업 비중*이 높고, 원‧하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