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회사나 작은 아르바이트까지 특수건강검진 (+야간 특수건강검진) 결과가 필요합니다.
특수건강검진 지정병원 찾는 방법, 비용, 대상자, 검사 전 유의사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 특수건강검진 용어 뜻
특수건강검진은 화학물질, 소음, 분진, 야간작업 등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직업성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을 보호/유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30조 참고).
※ 특수건강검진 실시하지 않은 경우 사업주에 1,000만 원 과태료,
특수건강검진을 본인 동의 없이 공개한 경우 500만 원 과태료.
사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는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가 별도로 존재하고 지정병원과 항목까지 안내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의 집과 동선에 가까운 곳을 찾아보고 해당 병원으로 특수건강진단을 받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안전보건공단 접속 - 사업 소개 - 특수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기관 찾기
www.kosha.or.kr/kosha/business/costSupport_search.do
※ 특수건강검진 전 Check
1. 최소 검진 5일 전부터 금주를 실시하고 전날 밤은 밤 12시 이후 금식입니다. 저녁식사도 기름진 것은 최대한 자제 해야 합니다.
2. 특수건강검진은 법적으로 사업주의 부담입니다.
3. 검사 결과는 한 달 이내로 근로자와 사업주에게 동시 발송되며, 사업주는 근로자 동의 없이 결과를 공개할 수 없습니다.
※ 건강디딤돌 제도
2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산업보건 기초제도 이행을 위한 비용 및 사후관리 지원을 통해 사업주 스스로가 근로자의 건강보호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재정이 열악한 소규모 사업장에 특검에 대한 비용을 지원해주는 사업을 말함.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구분 | 특수건강진단대상 유해인자 (시행규칙 별표23) |
배치후 첫번째 특수건강 진단시기 | 주기 |
1 |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
1개월내 | 6개월 |
2 | 벤젠 | 2개월내 | 6개월 |
3 | 1,1,2,3-테트라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아크릴로니트릴,염화비닐 |
12개월내 | 6개월 |
4 | 석면, 면분진 | 12개월내 | 12개월 |
5 | 광물성분진, 나무분진 소음 및 충격소음 | 12개월내 | 24개월 |
6 |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규정의 대상유해인자를 제외한 별표 12의2의 모든 대상 유해인자 | 6개월내 | 12개월 |
2022.08.22 - [보건(Health)] - 특수건강진단, 야간작업특검 기관 리스트 ('22년_8월)
특수건강진단, 야간작업특검 기관 리스트 ('22년_8월)
특수건강진단, 야간작업특검 기관 리스트를 공유합니다.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기준과). - 산업안전보건법 제135조에 따른 특수건강진단기관 255개소,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기관 81개소 특수건강
yeosuesh.tistory.com
야간작업은 생활의 리듬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이는 근로자로 하여금 스트레스 상승, 수면장애, 심혈관질환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야간작업은 작업 전/평상시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야간작업을 특수건강검진에 포함하여 건강장해를 발견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야간작업 실시 대상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2)
1. 6개월간 밤 12시부터 오전 5시까지의 시간을 포함하여 계속되는 8시간 작업을 월평균 4회이상 수행하는 경우
2. 6개월간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 사이의 시간 중 작업을 월 평균 60시간 이상 수행하는 경우입니다.
해당 건강진단은 배치 전 - 배치 후 첫 번째 6개월 내, 이후 12개월 주기로 실시합니다.
※ 업종 및 직종에 상관없이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 대상에 포함되면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함께 읽으면 유용한 글]
2021.05.04 - [보건(Health)] - 보건관리자 자격 및 선임 기준 (+법적 업무)
작업환경측정 대상 및 주기 기준등 (0) | 2021.06.23 |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항목 및 검색방법 (0) | 2021.06.22 |
사무실에서의 실내 공기질 (0) | 2021.06.08 |
석면 해체작업 감리자, 안전수칙 보호구 (0) | 2021.06.07 |
보건관리자 자격 및 선임 기준 (+법적 업무) (0) | 2021.05.04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