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폭염시 작업 중지 법규 및 배경
2. 정부 대책
3. 폭염 작업중지로 인한 사업주, 근로자 영향
4. 중대재해법 관계
관련 법규 및 배경: 산업안전보건법 제70조(건설 공사 기간의 연장),
제51조(사업주의 작업중지), 폭염으로 인한 건설현장 사망사고가 매년 발생합니다.
최근 5년(2016~2020년) 여름철 26명이 온열 질환으로 사망했으며 이중 22명이 7월 말~8월 사이에 사고 발생.
정부는 '21.07월 폭염에 따른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 '폭염 대비 노동자 긴급 보호 대책'을 추진.
* 고용노동부 : 열사병 예방 수칙 및 무더위 시간 작업중지 지도 점검 실시
* 국토교통부 : 지방국토 관리청, 산하기관 및 건설 관련 협회 등을 통해 지속 홍보
* 기획재정부 :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 발주 현장에 대해서 폭염기간 중 무리한 작업 않도록 지침 전달
[사업주 입장]
이미 건설사들은 폭염 특보 발령 시 오후 2~5시 사이 작업을 자제하고 있으며 대처방안으로 새벽 근무를 늘리거나 저녁에 일하는 방식으로 탄력근무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노동자 입장]
탄력근무 실시로 오히려 전체 업무시간이 줄어들 여지가 있고 이는 임금 삭감으로 이어짐. 이에 임금 보장(안) 신설 요구 하고 있습니다.
2022.07.28 - [환경안전보건 이야기] -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위험경보 발령 (고용노동부)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위험경보 발령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는 폭염에 취약한 건설업에 대해서 "열사병 위험경보"를 발령했습니다. □ 최근(‘16~’21년) 여름철(6~8월)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열사병 등 온열질환 산업재해(87건) 사례를 분석한 결
yeosuesh.tistory.com
중대재해 처벌법에서는 중대산업재해에 해당하는
직업성 질병 업무에 기인한 '열사병'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 고열작업 장소 및 폭염에 직접 노출되는 옥외 장소에서 근로자가 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는 그늘진 장소 제공, 적절한 휴식을 취하게 해야 하는 의무가 있음,
1년 이내 열사병 환자가 3명 이상 발생 시 중대재해로 사업주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해당 자가점검표는 폭염으로부터 공사장등의 야외근로자의 온열질환 취약도를
판별해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현장 관리자는 해당 진단표를 참고하시어 작업자관리에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같이 읽으면 유용한 포스팅]
산업안전 위험현장 집중단속 (08.30일 ~ 10.31일) (0) | 2021.08.26 |
---|---|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 주의 (+창문형 에어컨 단점) (0) | 2021.08.01 |
추락·끼임 위험 사업장 전국 점검/캠페인 실시 (0) | 2021.07.20 |
실험실 안전준수 (연구실안전교육 시스템 이용) (0) | 2021.07.08 |
벨트컨베이어 안전검사 기준 및 주요 위험요인 (0) | 2021.06.27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