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 안에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취급합니다. 하지만 취급량이 대부분 '소량'인 경우가 많아 안전수칙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구실 안 전법)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나 법규 주관부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전문성이 조금 부족할 수 있습니다.
실험실(연구실)의 작업 특성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산 목적이 아닌 연구·개발을 위한 작업
연구 실험자가 대부분 고학력자이나 실험 작업에 대해 미숙련자가 많음
실험실내에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을 소량씩 보관하고 사용 물질 자체의 위험성과 다른 물리적 위험성이 공존하는 작업 공간 실험과정이 다양하며, 실험조건 등이 자주 바뀜
실험 작업이 단독(1인)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실험자가 실험장치를 직접 디자인하거나, 필요시 장치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화학적, 생물학적, 기계안전, 전기안전, 소방 안전등 모든 것이 제한된 공간의 연구실에서 관리해야 할 요소임
2. 실험실 유해위험요소와 안전대책
주요 위험 유해요인의 종류
분류
내용
종류
물리적 요인
에너지 형태로 인체에 전달되어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요인
소음, 진동, 광선, 온열, 기압
생물학적 요인
생물체 형태로 인체에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요인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 등
화학적 요인
물질 형태(고체,액체,기체)로 인체에 침투하여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요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부식성, 자극성, 간독성, 신장독성, 신경계독성, 심혈관계독성, 조혈계독성, 발암성, 생식독성, 돌연변이유발성, 알레르기성, 방사성, 기형유발성)
기체(가스,증기), 액체(미스트,포그), 고체(먼지,흄)
작업 요인
작업자세, 작업량, 공구나 기구, 중량물취급 등의 요인에 의한 건강장해 요인
과다한 작업, 단순반복, 부자연스러운 자세, 중량물
사회 심리적 요인
작업과 관련된 정신적 부담에 의하여 발생하는 요인
작업관련 스트레스
실험실 안전장치
부스 & 흄후드 - 가연성, 독성 등 유해한 물질 사용할 때는 후드에서 작업 - 실험은 가능한 한 후드 안쪽에서 실시
- 후드 성능은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점검 날짜와 점검결과를 기록하여 보관 화학물질
저장고(Cabinet, 보관시설) - 실험실 내에 저장할 경우 통풍이 되는 곳에 각 유해물질별로 분류하여 보관 - 서로 반응할 수 있는 유해물질을 함께 두지 않아야 한다.
개별 저장용기 - 용기를 선택할 때에는 약품과 반응하지 않는지 확인 - 용기는 크기를 20 리터 이하로 제한
실험실용 냉장고 - 냉장고에 화학물질을 저장 시 밀봉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시료와 시약용으로 구별하여 사용
세안 장치 - 실험실의 모든 장소에서 15m 이내, 또는 15~30초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확실히 알아볼 수 있는 표시와 함께 설치
샤워 장치 - 모든 사람들의 키에 맞도록 높이를 조절하고 항상 사용 가능하게 유지 소방설비 - 경보설비, 소화기, 소방 담요, 소화전, 스프링클러설비 등
보호구의 종류
종 류
보안경
보호복
보호장갑
호흡보호구
청력보호구
안면보호구
용 도
눈 보호 장비(화학물질이나 유리 파편 등으로부터 눈 보호)
피부 보호 장비(화학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보호)
손 보호장비(화학물질등으로부터 손 보호)
호흡기 보호 장비 (유독가스, 분진 등으로부터 호흡기 보호)
귀 보호 장비(소음으로부터 청력 보호)
안면 보호장비(화학물질 등으로부터 안면 보호)
착용시점
화학약품 취급 시
실험실 출입 시 가스, 화학약품 취급 시
화학약품 취급 시
가스, 화학약품 취급 시
소음이 심한 실험 시
화학약품 취급 시
비고
착용 용이하며 땀이 차지않는것을 사용
3형식, 4형식등 물질특성에 맞는 보호복
반면형, 전면형 마스크 적절하게 사용
3. 연구실 안전교육 시스템 이용
연구실 안전환경 관리자 법정교육, 보수교육, 정밀 안전진단 기술인력 신규 교육, 연구활동 종사자 교육, 연구실 책임자, 연구실 안전 전문강사 교육 등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https://edu.labs.go.kr/front/)
협회 사이트가 아닌 정부 교육시스템입니다. 수강 가능한 유용한 교육이 많으므로 안전관리자 및 연구실 내 작업자에게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