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1년 산업재해 사망자는 828명이며 사고 사망만인율은 0.433‱로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 이는 2021년 대비 54명 감소하여 1999년 사고 사망 통계 발표 이후 최저 수준으로 기록됐습니다. 이는 건설업, 제조업에서 두드러지게 사망사고 비율이 떨어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5~49인 352명, 5인 미만은 318명 등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80%가 넘는 비율을 보여주었습니다. 재해유형별 사망자수 5대 재해유형별 사망사고(떨어짐, 끼임, 부딪힘, 깔림/뒤집힘, 물체에 맞음) 통계를 보면 떨어짐으로 인한 사망사고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직전 연도 대비 비율이 상승했습니다. 주요 기인물은 건축 구조물이며 기계장비와 부속물 설비로 인한 순으로 사망자수가 많았습니다. 지붕공사, 비계 작업등의..
질병관리청에서 한국의 연간흡연자 사망수와 사회경제적 비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질병관리청(정은경 청장)은 한국의 연간 흡연자 사망자수는 5만 8000명, 사회적 비용은 12조 1,900억원으로 추산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수, 사회적 비용 기준연도 남자 여자 현재흡연 HR 과거흡연 HR 기여 사망률 사망 추정자수 현재흡연 HR 과거흡연 HR 기여 사망률 사망 추정자수 2019년 1.702 1.108 32.30% 50,942 1.795 1.31 5.30% 7,094 사망자 총 5만 8000명중 남성은 50,000명, 여성은 7,000명 입니다.(추정치) 사회적비용은 12조중 의료비, 교통비, 간병비등의 직접비가 4조 6,000억원, 의료이용 및 조기사망에 따른 생산성 손실등의 간접비로 7조 ..
회사 근로자가 사망자 또는 3일 이상의 휴업 재해가 발생한 경우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 제57조 3항 및 시행규칙 제73조에 의거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합니다. *미 제출 시 1,5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또한, 사업주는 중대재해 발생 사실을 알게된 경우 재해발생 개요, 피해상황, 조치 및 전망 등을 지체 없이 지방고용노동관서(산재예방지도과)에 보고해야 합니다(미 이행시 3,000만원 과태료 부과) * 산업안전보건법 제54조제2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67조에 의거함. 전자문서로 산업재해조사표 제출 방문, 우편, 팩스 등의 방법 이외에도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민원*으로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중대재해발생 시 지체 없이 '지방고용노동관서'로 재해발생개요, 피해상황, 조치..
유해야생동물을 포획하기 위해서는 별지서식에 의한 허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유해야생동물'은 사람의 생멸이나 재산등에 피해를 주는 동물로 환경부에서 지정합니다. 유해야생동물 종류 유해야생동물의 종류는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1.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 또는 과수에 피해를 주는 참새, 까치, 어치, 직박구리, 까마귀, 갈까마귀, 떼까마귀 2. 일부 지역에 서식밀도가 너무 높아 농ㆍ림ㆍ수산업에 피해를 주는 꿩, 멧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청설모, 두더지, 쥐류 및 오리류(오리류 중 원앙이, 원앙사촌, 황오리, 알락 쇠오리, 호사비오리, 뿔쇠오리, 붉은 가슴 흰 죽지는 제외한다) 3. 비행장 주변에 출현하여 항공기 또는 특수건조물에 피해를 ..
'근로시간'은 근로자가 사용자(고용주)의 지휘나 감독 아래 노동력을 사용자의 처분 아래에 둔 실 구속 시간을 의미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제50조(근로시간) ①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근로시간을 산정하는 경우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ㆍ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 등은 근로시간으로 본다. 근로시간의 판단 원칙 근로자의 근로시간 해당 여부는 사용자의 지시 여부, 업무수행(참여) 의무 정도, 수행이나 참여를 거부한 경우 불이익 여부, 시간‧장소 제한의 정도 등 구체적 사실관계를 따져 사례 별로 판단 * 판례도 일률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개별 사안..
안전보건공단에서 안전보호구 착용 지침서 자료를 주기적으로 작성/개정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보호구 착용 길잡이] OPL 시리즈를 공유합니다. 벨트식 안전대 착용법 산업안전을 지켜야 하는 현장에서 가장 기본으로 사용되는 안전대 착용 안내서입니다. 안전대는 그네식, 벨트식으로 구분되며 U자 걸이 이은 지 1개 걸이 인지 사용구분에 따라 나뉩니다. 안전대는 작업위치 제한으로 인해 추락방지를 막는데 가장 큰 도움을 줍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의 비계 조립 해체 시, 구조물 작업 시 작업자는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적합 받은 안전대를 착용해야 하며 추락위험 방지, 하중 감소 등의 역할을 합니다. 걸이 설비의 위치는 가능한 높이, 로프 등 죔 줄은 2.5m 이내로 짧게. 그리고 작업 전 ..
'직업성 암'이란 직업으로 인해서 발암인자에 노출되거나 현재까지 확실한 발암인자를 특정하지는 못했지만 특정 직업군이나 산업에서 증가하는 암을 말합니다. 여기서 업무관련성이 중요한데. 개인의 발암인자에 노출의 특성이 비 노출되었을 경우와 비교해서 암의 발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전 세계의 사망원인 2위가 암이고, 모든 사망자 6명 중에 한 명이 암 관련 병으로 사망합니다. 여기서 '직업성 암'과의 관련 여부도 중요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이전 18세기 다수의 굴뚝 청소부가 특별히 '암'에 잘 걸리는 것을 발견한 뒤 세계 각국에서는 연구가 지속되었습니다. 이에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를 집단으로 하여 암 발생 위험이 높은 '고위험 업종'이 도출되었습니다. 암 발생 고위험 업종 통계학적으..
현대제철은 중대재해 처벌법 대상 적용 사업장입니다. 이번 사고로 인해서 사업주와 경영책임자의 처벌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22.3.2일 현대제철 당진공장 사고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 A(57세)는 공장 내 대형 용기에 빠져서 현장에서 숨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대형 용기 내부는 약 450도 이상이었다고 합니다. 이에 당진공장 고로사업본부 안전보건 총괄 책임자는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 및 중대재해 처벌법 위반으로 수사 중에 있습니다. 도금 과정에서 발생한 찌꺼기를 직접 제거하는 도중 중심을 잃고 450도 이상의 용기에 떨어졌고 현장에서는 2인 1조 근무 작업 지침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사고가 났다고 전해지는데 충분한 조사가 필요합니..
화재발생시 가스계 소화설비가 오작동 하는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사업장에서는 해당 사항에 대해 메뉴얼을 만들고 주기적으로 교육이 필요합니다. 대응요령을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화재시 소화약제가 방출되지 않을 경우 대응방법 대응방법 장소 상세내용 사진 1. 수동조작함 기동버튼 출입구 ① 방호구역 출입문 옆 수동조작함으로 이동 ② 수동조작함 OPEN ③ 수동기동버튼을 누름 ④ 약제 방출 ※ 수동조작함을 열면 경고음 발생(경고음은 수동기동버튼을 임의로 조작하지 말라는 의미) 2. 제어반의 약제방출버튼(=SOL기동) 약제실 ① 약제실 제어반으로 이동 ② 약제방출버튼/스위치(SOL기동) ③ 약제방출 ※ 화재발생지역 확인! (감지기 감지시) 감지기A,B 상태등 점등으로 확인 (감지기 미감..
기존 화학물질 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의 설치기준이 제조사용시설, 저장보관시설, 사외 배관 설치/관리 고시로 변경되었습니다. '22.02월 화학물질 안전원 공고 제2022-5호로 [항만 내 유해화학물질 저장·보관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고시]가 신규로 지정될 예정입니다. 항만 내 유해화학물질 저장‧보관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고시안 제1조(목적) 이 고시는 「화학물질 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4조 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1조 제2항 별표 5 비고 제4호에 따라 항만 내 유해화학물질 저장ㆍ보관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① 이 고시는 「항만법」 제2조 제4호 및 같은 조 제5호 나목 제2호·제4호에 따른 항만구역 내 수출·입하기 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