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 재료의 분류 및 특성, 개요를 게시합니다. 금속 재료의 분류 금속 철계열(Ferrous) : 적당한 양의 철을 함유함 순철(Pure Iron) : 순수한 철로 이루어진 재료 강(Steel) : 철에 2% 이하의 탄소(C) 첨가 탄소강(Carbon Steel) 저 합금강(Low Alloy Steel) 합금강(Alloy Steel)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 10%이상의 크롬, 1.2%이하의 탄소(C) 가 첨가된 합금강 주철(Cast Iron) : 철에 2% 이상의 탄소(C) 첨가 회주철(Gray Cast Iron) : 탄소(C)를 흑연 형태로 가지고 있는 기본 주철 백주철(White Pig Iron) : 회주철을 열처리하여 가단성(고체의변형)을 부여한 것이 가단주철임(Malleab..
위험물 안전관리법 인허가 사항에 대해서 총 2편 구성으로 정리 하였습니다. [목차] 1. 인허가 절차의 종류 2. 위험물 규제 흐름도 3. 위험물 시설의 구분 4. 변경허가 사항에 대해 5. 위험물의 품명, 수량 및 지정수량 배수의 변경신고건 6. 가사용 신청 7. 완공검사 8. 설계기술기준 9. 제출서류 1. 인허가 절차의 종류 위험물 법령 허가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물 법령 신고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물 시설 설치계획에서 사용개시 까지의 흐름 2. 위험물 규제 흐름도 3. 위험물 시설의 구분 위험물안전관리법 제2조 제1항 제6호 "제조소등"이라 함은 제3호 내지 제5호의 제조소, 저장소 및 취급소를 말한다. 제조소등이란 다음에서 설명하는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의 전체를 지칭하는 위험물법..
구분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에너지이용합리화법 법 조항 ○ 법 제34조 및 제36조 ○ 법 제17조 1항 및 2항 ○ 법 제39조 1항 및 4항 검사대상 압력용기 적용범위 ○ 화학공정 유체취급용기, 공기 또는 질소취급 용기 : 설계압력 0.2MPa 초과(안지름·폭· 높이·단면대각선길이 150mm 초과) ※ 안전인증 절차 고시(노동부고시 제2009-80호) 안전검사 절차 고시(노동부고시 제2010-14호 ○ 액화가스 취급용기 : 35℃에서의 압력 또는 설계압력 0.2MPa 이상 ○ 압축가스 취급용기 : 35℃에서의 압력 또는 설계압력 1MPa 이상 ※ 설계압력×내용적>0.004 이고, 안지름, 폭, 길이 또는 단면의 지름이 150mm 초과 ※ 고압가스용 저장탱크 및 압력용기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중대재해발생 등 산업재해 예방조치 의무를 위반한 사업장 명단 총 1,243곳을 공개했습니다. 중대재해발생사업장(576곳), 사망재해 2명 이상 발생사업장(17곳), 산재은폐 및 미보고 사업장(82곳), 중대산업사고 발생 사업장(11개소)입니다. 법적 근거 [1] 산업안전보건법 제9조의 2 고용노동부 장관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장의 근로자 산업재해 발생건수, 재해율 또는 그 순위를 공표해야 한다.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8조의 4 공표대상 사업장 ①항 공표대상으로 정하는 사업장 1호. (중대재해)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으로서 연간 산업재해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재해율 이상인 사업장 2호. (사망자 2명 이상) 연간 사망재해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
야간근무나 교대근무를 하시는 분들은 잠자는 시간이 불규칙하고 생체리듬이 깨질 수 있습니다. 교대 작업자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우선 사업주가 노동자에 대한 작업장의 개선 및 주기적인 건강상태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야간/교대근무자 건강관리 관련 법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약칭 - 안전보건규칙) 제669조(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조치) 사업주는 근로자가 장시간 근로,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작업, 차량 운전[전업(專業)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및 정밀기계 조작작업 등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하 “직무스트레스”라 한다)이 높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 법 제5조 제1항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작업환경ㆍ작업내용ㆍ근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설치검사, 정기검사, 수시검사 등의 검사 신청과 진단 방법, 클린룸 같은 밀폐형 시설에 대한 제조설비 검사 근거를 신설하는 등의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그간 안전진단 등의 검사 사이트에 가서 확인할 수 있었던 신청서나 주기 등의 시행령/시행규칙 사항을 해당 법에 정리해 개정하였습니다. ◇ 개정 이유 그간의 「화학물질 관리법」 및 하위법령(시행규칙, 고시) 개정사항들을 반영하고, 클린룸 등 밀폐형 공간 내 동일 시설을 다수 설치하는 업종(반도체, 표시장치 제조업)에 대한 대표 설비 검사 근거를 마련하는 등 현행 제도를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 주요내용 가. 화학물질 관리법 및 시행규칙 변경사항 반영(제2조 제14‧15호, 제4조 제3항, 제14조 제1항, 제15조, 별지 제4∼21호,..
고압가스법, 관련 검사 질의사항 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압력용기 설계압 및 안전밸브 설정압력 변경 관련 질의 [질의] 안녕하십니까 압력용기 설계압력 및 부속 안전밸브 설정압력 변경 등에 문의사항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1. 압력용기 설계압력 변경관련 문의 공기 저장조 압력용기의 설계압력이 0.98 Mpa이나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대상으로 가스안전공사에 법정검사를 받아왔습니다. 설계내역을 검토해보니, 최대 사용 허용 압력(M.A.W.P)은 1.14 Mpa이며, 최대 허용 압력(M.A.P)은 1.53 Mpa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Shell의 M.A.W.P는 1.185MPa이며, M.A.P는 1.588 MPa입니다. Bottom Head의 M.A.W.P는 1.328 MPa이며, M.A.P는 1.80..
화학물질안전원 고시 제2021-5호. 2021년 11월 23일 시행하는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 고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목적 - 이 고시는 「화학물질 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4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21조제2항 관련 별표 5 비고 제3호에 따라 별표 5의 제1호부터 제5호까지에 따른 기준의 일부를 적용하지 아니하거나 다르게 적용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규모, 범위와 설치 및 관리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 판단 유해화학물질별 소량 취급시설은 다음 각 호에 해당 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산업단지 내 입지나, 단위공장별 소량 여부, 제조사용시설/저장/보관시설 소량 여부, 물리적 공간으로 구분시 소량 여부를 판단해서 소량 기..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이 2022년 1월 27일부터 시행됩니다. 이중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 시간의 기준을 규정하고자 행정예고가 나왔습니다. 법 조항 설명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법') 4조 및 시행령 제4조 6.의 6. 「산업안전보건법」 제17조부터 제19조까지 및 제22조에 따라 정해진 수 이상의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및 산업보건의를 배치할 것. 다만, 다른 법령에서 해당 인력의 배치에 대해 달리 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르고, 배치해야 할 인력이 다른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안전ㆍ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 시간을 보장해야 한다. 즉,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6조제2항, 제20조2항, ..
산업안전보건법 제108조(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조사)에 따르면 신규 화학물질의 제조.수입자는 미리 유해성. 위험성 조사보고서를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제출해야 하고, 고용노동부는 이를 검토하여 화학물질의 명칭과 유해성 등을 공표해야 합니다. □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12월 22일(수) 올해 2월부터 10월까지 제조·수입된 신규화학물질의 명칭, 유해성‧위험성 및 근로자 건강 장해 예방 조치사항 등을 공표했다. * 전자 관보(gwanbo.mois.go.kr, ‘신규화학물질’ 검색) 게재, 고용노동부 누리집 게시 (www.moel.go.kr, ‘뉴스·소식’ → ‘공지사항’ → ‘신규화학물질’ 검색) ㅇ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신규 화학물질의 제조‧수입자는 미리 유해성‧위험성 조사보고서를 고용노동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