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S(물질안전보건자료)는 사업장에서 필수로 갖추고 관리해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 110조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에 의거 화학물질을 제조 및 수입하려는 자는 고용노동부에 작성 및 제출해야 합니다. MSDS에 대한 주요 정부질의 회신자료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내용이 많으니 필요한 부분만 검색하세요)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기재한 Sheet. 제조자명, 제품명, 성분과 성질, 취급상의 주의, 적용법규, 사고시의 응급처치방법 등이 기입되어 있다. 화학물질 등 안전 Data Sheet라고도 한다. MSDS교육 및 기록 [질문사항] MSDS 교육 및 기록안녕하세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 1..
동절기는 일반적으로 11월~2월 또는 12월~2월 사이의 기간을 말하며, '겨울철'이라고 합니다. 동절기에는 한파, 강풍, 동결등의 특성으로 난방과 전열기구 사용이 급증하는 시기 입니다. 이에 동절기는 특수한 사고가 다수 발생하며 집중관리가 필요합니다. [목차] 1. 동절기 사고방지 관리방법 2. 동절기 사고사례 자료 1. 동절기 사고방지 관리방법 - 난방・전열기구, 용접 작업에 대한 화기 관리책임자 지정 및 점검상태 이상 여부 확인 - 화재 발생에 대비한 근로자 화재 예방 교육 실시 여부 확인 (소화시설 사용법, 대피로 인지 등) - 화재위험작업 장소에 화재감시자 배치 - 밀폐공간 작업시 통풍 및 환기시설 작동 여부 확인 - 동절기 빈번히 사용하는 방동제 등의 유해물질관리(MSDS) 및 근로자 교육 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82조(구급용구)에 의거, 사업주는 응급처치에 필요한 구급용구를 갖추어 놓고 사용방법을 근로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구급용구 법규항목 ① 사업주는 부상자의 응급처치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구급용구를 갖추어 두고, 그 장소와 사용방법을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1. 붕대재료ㆍ탈지면ㆍ핀셋 및 반창고 2. 외상(外傷)용 소독약 3. 지혈대ㆍ부목 및 들것 4. 화상약(고열물체를 취급하는 작업장이나 그 밖에 화상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만 해당한다)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른 구급용구를 관리하는 사람을 지정하여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보건관리자별 지급가능 물품 의사 보건관리자 : 전문의약품(약사법 제2조), 일반의약품(안전상비의약품 포함), 의약외품 약사,..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안전조치) 및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1조의2(화재감시자)에 의거한, 화재감시자 주요 업무, 자격, 교육, 배치장소를 공유합니다. [목 차] 1. 화재 위험성 2. 화재 감시자 배치 장소 및 배치 제외 장소 3. 화재 감시자 업무 및 자격 1. 화재 위험성 용접·용단 및 땜 작업은 주변에 가연성 물질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고온의 불꽃, 불티의 비산이나 열로 인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용접·용단 불티가 단열재 내부에 들어가면, 일정부분 훈소*의 형태(연기발생)로 진행되다가, 충분한 산소의 공급과 축열 등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불꽃(화염)을 일으키는 화재로 확산될 수 있다. 구분 주요 발생원인 대책 화 재 불티 비산으로 인한 가연물 점화 불티비산차단막을 사용한다. 불티..
겨울철 한파, 한랭질환 대비 예방 안전교육자료와 자율점검표 양식을 공유합니다. 목차 - 한랭질환대비 안전교육자료 - 한랭질환대비 자율점검표 - 한파 단계별 대응요령 및 응급조치 방법 한랭질환대비 안전교육자료 한랭질환대비 자율점검표 한랭질환 예방 자율점검표 사 업 장 명 (건설업체명) 대 표 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소 재 지 법인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업 종 (노동자수: ) 전 화 번 호 (팩 스 번 호) 생 산 품 목 점검 항목 자체점검결과 따뜻한 옷 (방한 장구) ○ 여러 겹(3겹 이상)의 옷 착용 - (바깥층) 바람이나 물기를 막고 통기성을 갖춘 재질의 옷 - (중간층) 젖더라도 보온성을 갖춘 재질의 옷 - (안 층) 땀을 제거하기 용이한 재질의 옷 □ 예 □ 아니오 ○ 모자 또는 두건 착용 □..
화물자동차 운송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한 적재·하역방법에 대한 기술자료를 공유합니다. (고용노동부) 최근 5년간 ('17~'21년도) 화물자동차에 기인한 산재 사망사고는 127건중 일반 도로보다 사업장이 피해가 더 많았습니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적재․하역하던 중 화물이 쏟아지거나 무너지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 화물 깔림 사고 (’17년) 3건 → (’18년) 1건 → (’19년) 5건 → (’20년) 8건 → (’21년) 8건 최근에도 적재 중 무너진 화물에 맞거나(8.29., 6.22.) 컨테이너 개방 중 원단(6.16.)이 쏟아져 운송자가 사망한 바 있어, 사고 예방을 위해 화물의 형상에 따라 올바르게 적재·하역할 수 있는 기술자료를 제공한다(참고 1, 2). 동 기술자료는 화물 적재..
고용노동부에서 화학업종 및 폐기물처리 업종 사업장에 동절기 대비 화재·폭발 자율안전점검표를 배포하였습니다. 추후 불시점검시 자체점검표 미실시 사업장에 대해 엄정조치를 예고 하였습니다. 최근 위험물을 제조 · 취급하는 화학업종, 폐기물처리업 등의 사업장에서 관리감독자 업무 미흡, 위험물을 제거하지 않은 채 화기작업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 미준수에 의한 화재 폭발 사고가 다수 발생하였고, - 특히, 동절기에는 화학물질 취급공정에서 낮은 습도로 인한 정전기, 전열기구의 과열 및 가 연성 물질 관리 미흡 등에 따라 대형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 9.8(목) 창원, 피트에 유증기가 체류된 것을 모르고 용접작업을 하려다 화재발생(사망 1) ▪ 9.30(금) 평택, 반응기 하부 막힌 배관 연결 부위를 해..
'22.8 ~ '23.7월까지 지정된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자체 심사 및 확인업체를 공유합니다. 관련 법규, 업체 리스트, 지도점검을 아래와 같이 전달합니다.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관련 법규 * 건설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도란? 공사의 근원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설업 중 지상 높이가 31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등을 착공하려는 사업주가 공사 착공 전에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안전보건공단에 제출하여 심사·확인받는 제도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자체 심사 확인 제도 : 산업재해발생률 등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일정 기준에 해당하는 건설업체에 대해 계획서를 자체 심사 확인토록 하는 제도 ▢ 산업안전보건법 제42 조제 1 항, 시행규칙 제 42 조제 5 항․제6 항 및 제47 조, 시행규칙 별표 11, 고용노..
질식재해는 재해자의 절반이 사망('2012~'2021년에 발생한 196건 중 사망 165명, 부상 175명)할 정도로 치명적인 재해입니다. 일반적인 사고 재해보다 훨씬 높은 47%의 사망률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질식재해는 봄철(3~5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다음으로 여름철(6~8월)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이 기간 중 오폐수처리장, 정화조, 하수도 맨홀공사, 축사분뇨처리 작업에서 다발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화학설비탱크, 배관 등 작업 중 질식재해는 연중 수시 발생 이에, 밀폐공간 작업 질식재해예방 자체점검표를 아래와 같이 배포하오니 밀폐공간 작업 질식재해 에방에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밀폐공간 질식예방 자체점검 CheckList 밀폐공간작업시 주요 안전작업 절차 ..
3D 프린팅은 기존 제조업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기술로 이용 확산과 산업 진흥이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3D 프린터 작동 중에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방출되고 건강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집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작성한 자료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3D 프린터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1] 나노입자 포함 입자상 물질 나노입자(Nanoparticle, Ultra fine particle 등) • 나노입자는 지름이 0.1 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미세입자를 의미하며, 초미세먼지 (2.5㎛) 보다 작은 입자이다. 3D 프린터 사용 시 미세입자가 방출되는데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신체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 다양한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주의가 필요합니다. [2] 휘발성유기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